대구시가 올해 상반기 중 운행을 시작할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 노선(매일신문 1월 14일)에 대구 9개 구·군 중 북구와 수성구, 달서구만 참여 의사를 밝혔다. 구·군 상당수가 비용 부담을 이유로 DRT 도입을 주저한 가운데 관련 용역 결과 DRT 도입이 시급한 곳으로 꼽혔던 달성군도 사업 참여를 보류키로 했다.
3일 대구시 및 9개 구·군에 따르면 지난달 9일 시는 구·군별 DRT 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연 뒤 지난달 20~24일 DRT 사업 참여 신청을 받은 결과 북구와 수성구, 달서구가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앞서 시는 '대구형 DRT 운영 타당성 용역'을 통해 DRT 운행 후보지를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정도에 따라 단기 4곳, 중기 6곳, 장기 27곳 등으로 추렸다. 가장 운행이 시급한 단기 4곳에는 달성군 국가산업단지와 북구 연암공원이 포함됐다. 나머지 2곳은 현재 운행 중인 신서혁신도시와 수성알파시티였다.
DRT 사업 참여 의사를 밝힌 북구는 연암서당골 일대를 순환하는 형태의 노선을 제안했다. 시 용역 결과 운행이 시급한 곳으로 꼽힌 북구 연암공원과 같은 지점이다.
이 외에 수성구의 경우 3호선 범물역 일대를 순환하면서 수성하늘채르레브 아파트에서 진밭골 청소년수련원까지 가는 노선, 달서구는 도시철도 1호선 진천역~대곡2지구 한실들마을을 순환하는 노선을 각각 제안했다.
반면 북구와 함께 DRT 운행 후보지로 꼽혔던 달성군은 사업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 달성군은 교통 취약지에 투입되는 '행복택시'를 자체 운영 중이어서 DRT 도입이 급하지 않은 만큼 다른 곳의 운영 경과를 지켜본 뒤 추가 신청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대구 9개 구·군 중 3곳만 신청에 나서는 등 관심이 저조한 이유로 사업비 부담을 꼽는다. 시는 DRT 운행 사업비는 시비 50%·구비 50%로 충당할 예정이다.
실제로 참여 의사를 밝힌 구‧군 일부도 대구시에 구비 부담을 줄여줄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세웠다. 달서구의 경우 대구시에 시비 100% 부담, 수성구는 시비 70%‧구비 30%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구청 관계자는 "노선별로 차이는 있지만 DRT 차량 1대를 돌리는데 연간 2억원 가량 든다. 구 예산 1억원을 투입해야 한다는 건데, 사업비 부담이 과하다"며 "이후 운영을 하다 보면 노선 수요도 증가하고 차량 대수도 많아질 텐데 구비 부담은 계속해서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대구시는 이달 중 신청 후보지 3곳 중 일부를 선정해 상반기 DRT 운행을 시작하겠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이달 중 대상지를 선정해 상반기 운행을 목표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은 무효"…尹 구속 후 첫 주말집회, 궂은 날씨에도 부산역 뒤덮은 인파
[계엄 두 달]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는 다른 尹 지지율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인터뷰] 그라운드C 김성원, 헌법재판소 편향성 저격… "국민이 납득할 수 있나" [영상]
이준석 "케네디, 오바마도 40대에 대통령"…사실상 대선 출마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