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인근에 사는 대구 주민 약 80%의 콧속에서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는 민간 전문가와 환경단체의 주장이 나왔다.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네트워크, 대한하천학회는 3일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회견을 열고 '사람 콧속 녹조 독소 검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8월부터 9월까지 진행된 조사는 대구를 비롯 부산과 경남 밀양, 창원, 창녕 등 낙동강 지역 주민 97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연구진이 낙동강 일대 조사 참여자들의 비강 샘플을 채취한 결과 조사대상 97명 중 46명(47.4%)에게서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유해 남세균(녹조) 독소인 해당 물질은 신경계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독성 물질은 대구 참여자의 콧속에서 유독 자주 검출됐다. 대구 참여자 12명 중 10명(83.3%)에게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돼 전체 조사 참여자 검출률보다 높았다.
지역 환경단체들은 대구 참여자의 녹조 노출이 유독 심한 이유로 조사 대상자의 거주지와 낙동강 사이 거리가 다른 지역에 비해 유독 가까웠다고 해석했다. 또 낙동강 인근을 산책하는 등 일상에서 녹조에 노출되는 경우가 잦은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대구의 경우 달성군 강정고령보에서 1.5㎞ 떨어진 지근거리 아파트에 사는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고, 강정고령보는 지역 주민이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로 주로 이용해서 노출이 심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날 환경단체들은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녹조 독소의 환경과 인체 노출은 이미 세계적으로 증명되고 있고 그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환경부만 이를 부정하면서 녹조 사회재난을 방치하고 있다"며 "정부가 국민 생명과 안전을 위해 가칭 '녹조 사회재난 해소를 위한 국민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尹 탄핵심판 결론은 이미 나왔다…결정문 작성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