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비행기 선반 보조배터리 보관 금지, 에어부산 탑승구부터 수화물 확인 대응 나서

김해국제공항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원인이 기내 선반에 둔 수화물로 추정되면서 항공업계가 기내 반입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 및 전자기기에 대한 관리 및 안내 강화에 나선 가운데 3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체크인 카운터 인근 스크린에 위탁 금지 물품 안내문이 띄워져 있다. 연합뉴스
김해국제공항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원인이 기내 선반에 둔 수화물로 추정되면서 항공업계가 기내 반입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 및 전자기기에 대한 관리 및 안내 강화에 나선 가운데 3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체크인 카운터 인근 스크린에 위탁 금지 물품 안내문이 띄워져 있다. 연합뉴스

에어부산 여객기의 선반에 보조배터리 보관이 원천 차단된다. 에어부산은 4일 승객 탑승 전 기내 수화물에 리튬이온 배터리 등 화재 위험 물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등 선제 화재 예방책을 내놨다.

에어부산은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 대책을 수립해 오는 7일부터 시행한다.

직원들은 탑승구부터 승객들에게 구두로 리튬이온배터리 소지 유무를 확인한 뒤, 확인된 수화물에 태그(TAG) 등 별도의 표식을 부착하며 해당 표식이 있는 수화물만 선반 보관할 수있도록 한다.

표식이 없는 수화물이 선반에 올려져 있으면 승무원들이 직접 리튬이온 배터리가 들어있는지 확인한다. 해당 예방책은 일부 노선에서 시범 운영한 뒤, 이후 모든 노선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에어부산은 보조배터리 기내 탑재가 큰 폭으로 증가해 발열 등 이상 현상 발생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신속한 초동 조치를 위해서는 즉각적인 발견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이런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에어부산은 또 예약·발권 과정과 탑승수속 단계에서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탑재 금지에 대한 승객 동의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출발 하루 전 예약 고객 대상 별도의 안내 문자를 발송하는 등 고객 안내 조치도 강화하고 기존 안내 방송도 2회에서 3회로 확대한다.

기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과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위해 객실 승무원 훈련도 대폭 강화한다. 또 배터리 화재 발생 시 열폭주와 폭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비와 승무원용 방화 장갑도 구매해 항공기에 구비할 예정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