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설 연휴 관광객 몰린 日, 1박 추가 '10만원' 숙박세 부과 논란

설 명절 연휴를 앞둔 23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장기주차장이 이용객 차량으로 꽉 차 있다. 연합뉴스
설 명절 연휴를 앞둔 23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장기주차장이 이용객 차량으로 꽉 차 있다. 연합뉴스

최장 열흘의 황금연휴였던 올해 설 명절, 해외로 떠난 국내 여행객들의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일본이 최근 숙박 시설 이용자에게 '숙박세'를 물리기로해 논란이 일고 있다.

교토 등 유명 관광지를 포함한 일부 지역에서 하루 숙박을 이용하는 데 우리 돈으로 10만원 정도의 추가 숙박세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일 일본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홋카이도 니세코정이 지난해 11월, 아이치현 도코나메시가 지난달 숙박세 징수를 시작하는 등 관광진흥을 명분으로 숙박세를 도입하는 지방자치단체가 크게 늘고 있다. 올해 안으로 히로시마현, 삿포로시, 센다이시 등 14개 도현시촌에서도 숙박세를 도입할 전망이다. 2023년까지 숙박세를 매기는 지자체는 9곳이었던데 반해 올해 오키나와현, 구마모토시 등 43개 지자체가 숙박세 도입을 위한 검토에 돌입한 상태다.

특히 일본 대표 관광 도시인 교토시는 기존의 숙박세에 더해 10배 정도 인상하겠다고 밝히면서 논란에 불을 지폈다. 교토는 전세계에서 몰리는 관광객으로 '오버투어리즘'을 해소하고자 현행 200∼1천엔(약 1천800∼9천400원) 수준인 숙박세를 숙박요금이 1박에 10만엔(94만원) 이상일 경우 1만엔(9만4천원)까지 인상할 방침이다. 계획대로 내년 시행에 돌입하면 교토시는 가장 고액의 숙박세를 받는 지자체가 된다.

일본 여행객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 이같은 숙박세 정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몰리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설 연휴 기간 인천공항을 이용한 여행객은 218만9천778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국제선 이용객은 217만6천469명이었으며 일본으로 떠난 여행객 수는 27만6천237명으로 해외 여행객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 지난해 설 연휴(12만2천778명)와 비교하면 1년 새 2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특히 일본 노선은 지난해에만 2천514만3천112명에 달하는 여객 수를 기록하며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본은 숙박세 징수를 통해 셔틀버스 확대, 관광객용 무선랜 설치, 안내지도 제작 등 관광 인프라 확충에 재정을 투입한다는 설명이지만 여전히 일본 관광지를 향한 시선은 곱지 못하다.

아사히신문은 전문가 의견을 통해 "숙박세 인상이 관광객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며 "숙박세 도입 취지와 재원 사용 계획을 주민과 공유하고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