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권성동 제명 국회 심사 돌입, 김민전 제명 회부도 코앞

국민의힘 권성동 국회의원. 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성동 국회의원.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민전 국회의원.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민전 국회의원. 연합뉴스
국회청원(국회 국민동의청원) 홈페이지. 2월 5일 오전 11시 23분 기준
국회청원(국회 국민동의청원) 홈페이지. 2월 5일 오전 11시 23분 기준

윤석열 대통령이 일으킨 계엄 사태 및 이어진 탄핵 정국과 관련해 국민의힘의 권성동 국회의원과 김민전 의원에 대한 제명 요구가 나와 국회에서 다뤄질 전망이다.

▶5일 오전 11시 23분 기준으로 국회청원(국민동의청원) 웹사이트에 등록된 '권성동의원의 의원직 제명에 관한 청원'이 동의수 7만2천320명을 기록하고 있고,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 제명에 관한 청원'은 동의수 4만2천804명을 기록 중이다.

국회청원은 30일 내로 5만명의 동의를 얻은 법안을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시키는 제도인데, 권성동 의원 제명 요구 청원은 종료일인 2월 7일 전에 요건을 충족한 상황이다.

또 김민전 의원 제명 요구 청원은 시한인 2월 13일까지 7천196명 동의를 채울 가능성이 높다.

▶권성동 의원 제명 요구 청원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3일 행사한 비상계엄을 두고 "헌법을 유린하고 국헌문란의 목적으로 저지른 내란 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 이와 관련해 "권성동 의원은 지속적으로 내란의 성공을 도모하거나 내란을 방조하고, 정치적 발언을 통해 공공연히 내란을 옹호하고, 선전·선동하는 등 내란을 정당화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권성동 의원의 이같은 행위는 국회의원으로서 지켜야 할 헌법 제46조 2항을 위반하고, 또한 형법 제90조 2항의 내란 선전·선동죄에 해당한다. 따라서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권성동 의원의 의원직 제명을 청원한다"고 요구했다.

김민전 의원 제명 요구 청원에서는 김민전 의원이 지난 1월 9일 주선한 반공청년단(백골단) 국회 기자회견을 문제 삼았다.

앞서 백골단에 대해서는 1980년대 시위 진압 경찰 부대를 가리키던 이름을 그대로 조직명에 빌려온 것이라 비판이 이어졌고, 백골단이 윤석열 대통령이 머무르는 대통령 관저 주변에서 감시 활동을 하는 일종의 '자경단' 목적을 내비쳐 역시 논란이 됐다.

이같은 논란에 김민전 의원은 기자회견이 열린 당일 저녁 입장을 내고 기자회견 자체를 철회하기도 했다.

국회청원(국회 국민동의청원) 홈페이지. 2월 5일 오전 11시 43분 기준
국회청원(국회 국민동의청원) 홈페이지. 2월 5일 오전 11시 43분 기준

▶한편, 현재 국회청원 동의수 상위 8건 청원을 살펴보면 국회의원 제명 요구는 권성동·김민전 의원 관련 2건이 있다.

그 밖의 청원 목록을 살펴보면, 이번 계엄·탄핵 사안과 관련해 조배숙·김선교·권영세 등 의원에 대한 제명 요구 청원이 올라와 있다.

모두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에 대한 제명 요구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