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양자과학기술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1천98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양자 컴퓨팅 기술 상용화 등을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양자과학기술의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올해 15개 사업 32건 신규 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전세계적으로 중점 투자되고 있다.
이에 정부도 올해 양자과학기술 관련 예산을 지난해 보다 54.1% 늘린 1천980억원을 투입한다.
주요 사업으로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 사업은 성능이 검증된 양자컴퓨터를 국내에 설치하고 연구현장에 제공해 양자컴퓨팅 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양자통신 소재 국산화와 기술 개발 자립화를 꾀하는 '퀀텀 ICT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통신)' 사업과, 미래 양자기술 기반이 되는 새로운 계측 방법론을 연구하는 '양자정보 계측방법론 및 원천기술 개발(퀀텀 메트롤로지)' 사업도 추진된다.
또한 '양자과학기술 글로벌 파트너십 선도 대학 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 대학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활용, 양자과학기술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확대하고 세계 수준의 양자 기술 확보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양자 연구 거점 2곳을 선정하는 '퀀텀 플랫폼 사업'도 시작한다. 출연연을 중심으로 산학연이 협력해 양자 연구 거점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연구개발(R&D) 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올해는 UN이 지정한 양자의 해로 양자산업화의 원년으로 삼아 기초원천 기술개발과 더불어 산업화 준비를 철저히 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