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작년 산후조리원서 쓴 비용 1인당 287만원

복지부, 세 번째 산후조리 실태조사…다수 산모, '경비 지원' 요구
산모의 출산휴가·육아휴직 등 '쉴 권리' 촉구 목소리 매년 커져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지난해 산모 10명 중 8~9명은 출산 이후 산후조리원을 평균 12.6일 동안 이용했으며 여기에 약 287만원의 비용이 든 것으로 조사됐다.

산모 10명 중 6명은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정부의 지원을 희망했으며, 출산휴가 기간 확대,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 등 쉴 수 있는 권리를 원하는 의견도 매년 늘고 있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9월 30일∼10월 12일 실시한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를 5일 공개했다.

실태조사는 2018년 첫 실시 이후 이번이 세 번째로, 지난해 복지부는 2023년에 출산한 산모 중 지역·연령 등을 고려해 모두 3천221명의 산모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산모들이 산후조리를 위해 선택한 장소(중복 응답)는 산후조리원이 85.5%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본인 집(84.2%), 친정(11.2%), 시가(1.0%) 순이었다.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2018년 75.1%, 2021년 81.2% 등 조사 때마다 늘고 있다.

선호도 또한 산후조리원이 높았으나 직전 조사에 비해 그 비율은 줄어들었다. 선호하는 조리 장소로 산후조리원을 꼽은 비율은 70.9%로 직전 조사 때 78.1%보다는 줄어들었다. 이어 본인 집(19.3%), 친정(3.6%)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장소별 만족도는 큰 차이는 없었지만, 시가·산후조리원에서의 조리 만족도가 3.9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후 본인 집(3.6점), 친정(3.5점)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 산후조리 기간은 30.7일이었다. 본인 집(22.3일), 친정(20.3일), 시가(19.8일), 산후조리원(12.6일) 순으로 길었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본인 집(26.8일→22.3일), 친정(23.7일→20.3일) 등 가정에서의 산후조리 기간은 줄었으나 산후조리원에서의 조리 기간은 12.3일에서 12.6일로 늘었다.

산후조리 비용은 가정에서나 산후조리원에서나 똑같이 증가했다. 산후조리원 평균 지출액은 286만5천원으로 직전 조사의 243만1천원에 비해 17.9% 증가했다. 가정에서의 산후조리 비용은 125만5천원으로 직전 조사 81만5천원에 비해 50% 가량 급증했다.

산후조리 비용이 증가하면서 대다수의 산모가 정부의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말한다.

'산후조리를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복수 응답 가능)으로 조사 대상 산모의 60.1%가 경비 지원을 꼽았다. 그리고 출산휴가 기간 확대(25.9%),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16.9%) 순이었다.

특히 출산휴가 기간 확대는 직전 조사에서의 응답이 20.8%였고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는 13.3%였다. 이번 조사와 비교해보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제도에 대한 요구는 계속 늘어나고 있었다. 다만, 정부 지원은 큰 비중을 차지하기는 하나 직전 조사(75.6%) 때 응답보다 감소했다.

정작 지난해 조사에서 출산 직전 취업 상태였다던 산모(전체의 82.0%) 중 출산 휴가는 58.1%, 육아휴직은 55.4%만 썼다고 답했다. 2021년 조사 당시보다 각각 5.7%포인트, 1.2%포인트 내렸다.

반면 배우자의 출산휴가(55.9%), 육아휴직(17.4%) 이용률은 올랐다.

김상희 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은 "산후조리 비용 지원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육아휴직 활성화, 산모·배우자의 출산휴가 기간 확대 같은 제도적 뒷받침에 대한 정책 욕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