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심리에서 김현태 육군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은 증인으로 나와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지시는 없었고 그렇게 할 수도 없었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비상계엄 당시 특전사 요원들을 지휘해 국회로 출동했었다.
김 단장은 이날 윤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에 나와 "(의원 등을) 끌어내라는 지시가 없었다고 기억한다. (지시가) 있었다 한들 안 됐을 것"이라며 "'끌어내라' '국회의원'이라는 단어는 없었다"고 했다. 김 단장의 증언은 지난 4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의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을 저지하라는 지시를 받은 적 없다"는 증언과 상당 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내란 혐의를 강력하게 부인해 온 윤 대통령 측의 주장에 힘을 실어준 대목이어서 주목된다.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도 이날 증인으로 출석,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이어지는 '줄탄핵'과 재정 부담, 일방적 입법 시도, 예산의 일방 삭감 등이 종합적으로 원인이 됐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국정이 마비된다고 계엄 선포를 할 수 있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 삭감으로 안보·치안 등 국정 활동이 마비된 것도 비상계엄 선포 배경 중 하나라고 주장해 왔다.
박 수석은 '기획재정부에서 30년 넘게 공직 생활 하면서 정부 예산안을 여야 합의 없이 야당이 단독 처리할 수가 있었나'라는 윤 대통령 측 질문에는 "없었다. 헌정사상 처음"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
[시대의 창-김노주] 영국 '타임스'가 본 2·28민주운동
[단독] 'EBS 이사장' 유시민 누나 "배임 기소된 적 없어"…거짓 해명 들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