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T, 3~5년 주기로 협력사 재구성…"경쟁 구도 활성화"

'협력사 순환 체계' 도입, 매년 거래 지속 여부 재검토
물자 분야는 '장비·자재'로 세분화
협력사 분류 체계 또한 AICT 방향성에 맞게 개편

임현규 KT 경영지원부문장 부사장이 지난 7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에서 열린
임현규 KT 경영지원부문장 부사장이 지난 7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에서 열린 '제10회 KT 파트너스데이 2025'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KT가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기존 구매 및 협력사 관리 프로세스를 개선하겠다고 9일 발표했다.

우선, 협력사를 재구성하기 위해 3~5년 주기로 '품질 최우선 경쟁'을 실시하는 '협력사 순환 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다.

매년 품질 평가를 실시해 거래 지속 여부를 재검토함으로써, 우수 공급사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려는 취지라는 게 KT의 설명이다.

또한, 협력사 간 경쟁 입찰을 통해 물량을 차별화하고, 필요한 경우 협력사 풀에 없는 외부 공급사가 경쟁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수의계약은 불가피한 분야에 한해 제한적으로만 진행한다.

아울러 협력사 분류 체계 또한 AICT 방향성에 맞춰 개편한다.

기존에는 협력사를 'SW 개발', '물자', '공사', '용역'으로 나눠 관리했다면, 이제 SW 개발은 AI·IT로 변경해 개방적으로 운영한다.

이에 따라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야 모든 기업이 협력사로 선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자 분야는 '장비·자재'로 세분화해 ICT를 포함한 DX(디지털 전환) 영역의 협력사를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할 방침이다.

구매 원칙도 새롭게 정립한다.

기존에는 직원 교육이나 파일럿 프로그램을 위한 구매가 각 사업부에서 자체적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있었으나, 앞으로는 모든 구매를 구매 부서의 관리 아래 일원화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KT는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구매 시스템을 차세대 구매 플랫폼으로 통합해, 구매 데이터의 가시성과 투명성을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AI와 전자계약 시스템을 도입해 협력사 및 임직원의 업무 효율성을 강화한다.

플랫폼 개발은 내년 연말까지 완료하는 것이 목표로, 적용할 AI 모델로는 마이크로소프트(MS) 코파일럿을 비롯한 다양한 모델을 교차 검증하고 있다.

한편, 협력사와 재계약 시 단가를 협상하는 AI 서비스는 2월 중 베타 서비스로 운영될 예정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