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무협 "보편관세가 도입되는 시점이 수출 감소의 변곡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로 한국도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로 한국도 트럼프 '관세 전쟁'의 영향권에 있다는 우려가 가시화하고 있다. 사진은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 중인 모습. 연합뉴스

미국이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타깃 관세에 이어 10%포인트(p)의 보편 관세까지 도입하면 한국의 대(對)세계화 수출이 지난해보다 1.9%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조치에 따른 영향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대중국 10%p 추가 관세 부과(시나리오1) ▷시나리오1+대캐나다·멕시코 25%p 관세 부과(시나리오2) ▷시나리오2+보편관세 10%p 부과(시나리오3) 등 총 3단계로 나눠 미국의 관세 부과 정책이 미치는 한국 수출 영향을 분석한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를 살펴보면 미국이 중국에 10%p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현재 상황이 지속할 경우, 한국의 올해 대세계 수출은 지난해 대비 4억1천만달러(0.1%)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시나리오1 상황에서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8억1천만달러(0.6%)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대미국 수출은 4억달러(0.3%)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시나리오2가 실행될 경우 한국 대세계 수출은 2억2천만달러(0.03%)로 예상된다. 미국은 3월까지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한 상태다.

그러나 타깃 관세에 이어 보편 관세까지 현실화할 경우(시나리오3) 한국의 대세계 수출 감소폭은 크게 확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의 대미국·멕시코 수출이 10% 안팎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서다.

시나리오3가 현실화하면 한국의 대미국 수출과 대멕시코 수출은 각각 100억3천만달러(7.9%), 15억7천만달러(11.5%)씩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대중국 수출 감소폭은 13억달러(1.0%), 대캐나다는 3억3천만달러(3.2%)가량 축소할 것으로 점쳐진다.

양지원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현재까지 언급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특정국 관세 조치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제한적"이라며 "다만 보편관세가 도입되는 시점이 수출 감소의 변곡점이 될 수 있는 만큼 민·관이 선제적으로 대미 아웃리치(대외협력) 활동을 확대하고 관세 전쟁 장기화 가능성에 체계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