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악성 미분양 증가에 아파트 공사 중단"…정부 부동산 대책도 안 통한 대구

준공 후 미분양 862가구 증가…달서구 본동 아파트 공사 멈춰
대구시 "DSR 유예 등 중앙정부에 강력 건의"

대형 건설사가 시공한 대구 달서구 본동 주상복합아파트 건설공사가 미분양 여파로 중단됐다. 사진은 9일 오전 공사 현장. 구민수 기자
대형 건설사가 시공한 대구 달서구 본동 주상복합아파트 건설공사가 미분양 여파로 중단됐다. 사진은 9일 오전 공사 현장. 구민수 기자

9일 오전 대구 달서구 본동 주상복합아파트 건설공사 현장은 문이 닫힌 채 사람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었다. 대형 건설사가 시공한 이 단지는 최근 지역의 미분양 문제가 심각해지자 공사가 중단됐다.

인근 주민들은 지난해 연말부터 공사가 사실상 멈췄다고 입을 모았다. 2026년 6월 입주를 앞둔 이 아파트는 2022년 7월 분양 당시 0.9대 1의 평균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당시에도 입지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270가구 모집에 24명만이 지원했다.

지역의 미분양 주택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해 7월(1만70가구) 이후 4개월 연속 감소하던 대구의 미분양 주택은 지난달 기준 8천807가구로 전달(8천175가구)보다 632가구 늘었다. 특히 악성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862가구(1천812가구→2천674가구) 증가하면서 미분양 주택 증가를 주도했다. 전체 미분양에서 준공 후 미분양이 차지하는 비율도 22.16%에서 30.36%로 급증했다.

정부는 지난해 기업구조조정 리츠(이하 CR리츠), 세제 감면 혜택 등 각종 부동산 대책을 내놨지만 대구를 포함한 비수도권의 미분양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구시는 미분양 주택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6일 민관합동 주택정책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대출규제 완화, 특례대출 확대, 세제지원 강화 등을 강조했다. 참석한 자문위원들은 올해 7월부터 시행될 예정인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적용을 비수도권에 한해 유예하고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을 구매할 경우 DSR을 적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법인·다주택자에 대한 세제 완화, 양도소득세 한시 감면 재도입뿐만 아니라 건설업계의 자구책 마련과 자성도 촉구한 자문위원들은 지역 주택시장이 올해 하반기부터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정치적 불확실성과 공급과잉 등 불안 요인이 남아 있다고 언급했다.

대구시는 이번 자문회의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을 검토해 타 시도와 공동으로 중앙정부에 미분양 해소를 위한 정책을 건의할 계획이다.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이번 자문회의에서 나온 소중한 의견을 바탕으로 중앙정부에 비수도권 정책을 강력히 요구하겠다"며 "앞으로도 주택정책 자문위원들과 함께 지역 주택시장과 정부 정책 변화에 대응해 미분양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