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고교 평준화 배정 결과… 올해도 특정 학교 쏠림 심화

눈치싸움으로 심화… 2~3지망에 대거 몰리기도
손희권 도의원 "정교하고 유연한 대책 필요"

2025학년도 포항지역 평준화 일반고교 배정 현황. 경북교육청 제공
2025학년도 포항지역 평준화 일반고교 배정 현황. 경북교육청 제공
손희권 경북도의원(포항)
손희권 경북도의원(포항)

경북 포항지역 고등학교 배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5학년도에도 특정 학교로 학생들이 집중되는 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4학년도와 비교했을 때도 일부 학교의 지원자가 대폭 증가했지만, 다른 학교는 지원율이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등 고교 평준화 정책의 형평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세명고·포항고·포항장성고에 몰려… 쏠림 현상 더욱 심화
손희권 경북도의원이 경북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포항고교 배정자료에 따르면 1지망 지원자가 가장 많은 학교는 세명고(308명, 정원 대비 157.95%), 포항고(305명, 155.61%), 포항장성고(292명, 145.2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학교들이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학생들이 특정 학교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세명고는 정원 195명 대비 308명이 1지망으로 지원하며 가장 경쟁이 치열한 학교로 분석됐다. 두호고(228명, 115.74%)와 포항여고(231명, 118.46%)도 높은 지원율을 기록했다. 반면, 포항중앙고(61명, 31.77%)와 포항중앙여고(116명, 60.42%)는 1지망에서는 비교적 낮은 지원율을 보였다.

2025학년도와 2024학년도의 배정 자료를 비교한 결과 세명고는 지난해(376명)보다 다소 감소한 308명이 지원했으나 여전히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포항고와 포항장성고는 지원자 수가 증가하며 경쟁이 더 심화됐다.

반면 일부 학교는 지원자 감소세를 보였다. 포항중앙고와 포항중앙여고는 1지망 지원자 수가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학교별 선호도 격차가 더욱 뚜렷해지면서 특정 학교로의 쏠림 현상이 눈치싸움으로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눈치싸움에 2~3지망까지 특정학교 쏠림
1지망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인 학교들은 경쟁이 과열될 것을 우려한 일부 학생들이 2지망 지원을 전략적으로 조정하면서 2지망에서도 특정 학교로 학생들이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1지망에서 낮은 지원율을 보였던 포항중앙고와 포항중앙여고는 2지망에서는 180%대 3지망에서는 210%대의 매우 높은 경쟁률을 보이는 등 학생들의 전략적 선택이 두드러졌다.

대동고는 1지망에서 77.60%의 지원율을 보였으나 2지망에서는 190.63%로 급등하며 지원자가 대거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유성여고 역시 1지망 지원율이 64.92%였으나, 2지망에서는 233.51%로 치솟으며 학생들의 눈치싸움이 치열하게 벌어졌음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학생들이 평소 관심이 높은 학교를 1지망으로 지원하면 배정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2지망을 선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로 인해 특정 학교에 학생들이 더욱 몰리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배정 방식의 구조적 문제 드러나
포항지역 고교 평준화 정책은 학생들의 교육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특정 학교에 대한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일부 학생들은 원하는 학교에 배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학생과 학부모들은 "평준화 정책이 특정 학교에 대한 선호도를 억제하지 못하고 있다"며 "보다 현실적인 배정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일부 학교의 교육 수준과 환경 차이가 학생들의 선호도를 더욱 분명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단순한 추첨식 배정보다는 더 정교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북교육청은 이번 배정 결과를 분석한 후 학생과 학부모들의 의견을 반영해 배정 방식을 개선할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해마다 특정 학교로의 쏠림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보다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손희권 경북도의원은 "평준화 정책이 특정 학교로의 지원 집중을 막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배정 방식을 좀 더 유연하게 조정하거나, 학교별 교육 프로그램을 차별화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