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인한 폭염의 영향이 우리 식탁을 위협하는 수준까지 다가온 가운데 기상청은 최근 '폭염백서'를 발간했다.
백서에선 지난 여름 긴 열대야는 한 세대에 한 번 발생할 정도로 기록적이었고, 기후변화로 5∼9월 폭염이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기상청이 폭염이 발생하는 원인과 과거 사례, 미래 전망을 담은 백서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1990년대(1991∼2000년)엔 처음 폭염이 발생한 날(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이 7월 3일에서 13일 사이였다.
그러나 2010년대(2011∼2020년)에는 6월 27일~7월 6일로 시기가 앞당겨졌다.
마지막 폭염 발생 시점은 크게 차이가 없어 전반적으로 폭염 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야(최저기온 25도 이상) 발생 일수도 오름세다. 지난해 여름 열대야 발생일은 20.1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1994년과 2018년의 열대야 발생 일수는 각각 16.4일, 16.5일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상승폭이 제법 크다.
이처럼 폭염과 열대야가 더욱 자주 발생하고 기록을 경신하는 것은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 온도 상승과 직결된 문제라고 백서는 설명하고 있다.
한편, 한반도에서 폭염은 향후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연중 가장 더운 기간(일 최고기온이 가장 높은 날 전후 30일을 포함해 61일) 일 최고기온 평균값은 현재 25.5도인데, 기후변화 시나리오 중 'SSP1-2.6'을 적용하면 금세기 말(2071∼2100년) 28.6도로 오를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SSP1-2.6'는 '재생에너지 기술이 발달해 화석연료 사용량이 최소화되고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경우'를 가정하는데, 그나마 이상적인 시나리오를 적용하더라도 지금보다 3.1도는 오른다는 것이다.
폭염으로 우리 식탁에 자주 오르는 작물들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현상이 매년 거듭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도 잇따른다.
엄정식 대구농업기술센터 원예작물팀장은 "특히 배추, 상추, 깻잎 등 엽채류는 고온에 잘 견디지 못하는 특성이 있어 이들 작물 물가에 타격이 클 것"이라며 "배추의 경우 8월 초에 씨앗을 뿌려 중순에 뿌리를 내려야 하는데, 폭염 영향으로 뿌리를 제대로 내리지 못하고 성장하지 못하면서 '금배추' 현상으로 이어지게 됐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뒤흔든 '尹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대한민국을 지키자"[종합]
무너진 법과 상식, 국가 리더십 실종…국민들 광장으로 쏟아졌다
"尹 탄핵 반대" 대구 집회 다음은 광주…여당 "언론, 최대 인파 대구 집회 외면해"
항공사진 AI 분석, 동대구역에 15만 인파…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 한 목소리
이재명 "尹 친위군사쿠데타·주4일제·국민소환제·30조원 추경"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