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뢰로 한길리서치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헌법재판소의 신뢰도가 50%대 초반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신'보다는 '신뢰'가 오차범위 밖에서 더 높았으나 최근 불거진 논란들이 신뢰도를 갉아먹은 모양새다.
지난 8~9일 양일 동안 전국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 3.1%p) 결과 헌법재판소에 대한 대해 신뢰한다는 응답은 53.8%,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4.9%였다.
구체적으로는 '매우 신뢰한다'는 35.3%, '다소 신뢰한다'는 18.5%,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는 15.4%,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는 29.5%였다.
조사 결과 매우 신뢰한다는 응답과,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 비중을 합하면 64.8%에 달했다. 양극화된 국민들의 정견을 적나라하게 비추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특히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이들은 헌재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87.7%에 달했고,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이들은 헌재를 신뢰한다는 응답이 93.2%에 이르렀다.
헌재가 최고 사법기관으로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대한 판결을 내려야 하는 상황을 감안하면 헌재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이 비등한 상황은 우려스러운 지점이다.
헌재는 비교적 최근까지 각종 여론조사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국가기관으로 꼽혔다. 지난해 12월 엠브레인퍼블릭 등 여론조사 4사의 지난해 12월 전국지표조사(NBS)에서 헌재를 신뢰한다는 응답이 67%로 1위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신뢰도 하락 추세가 뚜렷하다.
이를 두고 문형배 재판관 등 일부 헌법재판관의 정치적 편향성 논란과 더불어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마은혁 재판관 임명 관련 권한쟁의 심판 등에 대한 헌재의 '선택적 속도전 논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성별로는 여성이 56.1%의 신뢰를 보내 남성(51.5%)보다 높았고, 연령별로는 40대(63.8%), 지역별로는 호남(66.5%)이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남성(47.5%)이 여성(42.2%)보다, 연령별로는 60대(55.0%) 지역별로는 대구경북(54.1%)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여론조사의 응답률은 10.6%이다. 자세한 내용은 한길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댓글 많은 뉴스
대구 뒤흔든 '尹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대한민국을 지키자"[종합]
무너진 법과 상식, 국가 리더십 실종…국민들 광장으로 쏟아졌다
"尹 탄핵 반대" 대구 집회 다음은 광주…여당 "언론, 최대 인파 대구 집회 외면해"
항공사진 AI 분석, 동대구역에 15만 인파…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 한 목소리
이재명 "尹 친위군사쿠데타·주4일제·국민소환제·30조원 추경"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