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한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은 '거대 야당의 폭주에 대해 경종을 울리려 했다'는 윤 대통령 주장에 대해 "충분히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당일도 전혀 비상계엄이 선포될 것이라는 사실을 몰랐으며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해 반대했다"고도 했다.
신 실장은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 같은 취지로 말했다. 국방부장관이었던 신 실장은 지난해 8월부터 국가안보실장 직을 맡았다.
신 실장은 지난해 3월 말~4월 초 삼청동 안가에서 진행된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등이 참석한 만찬에서 윤 대통령이 정치적 상황을 두고 토로한 것을 두고 "정확한 워딩은 기억나지 않지만 (윤 대통령이) 비상조치를 해야 되지 않겠냐는 취지로 발언했다"며 "다만 그 당시에는 계엄까지는 생각 못했고 어떤 경우든 적절치 않고 좋은 해결책이 아니라고 의견을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비상계엄 선포 당일 신 실장은 상황을 전혀 파악하지 못 하고 있었다고 한다. 당일에도 일상적 업무를 하고 밤 8시쯤 퇴근을 했다는 것이 신 실장의 주장이다. 신 실장은 "비상계엄 선포를 알았다면 퇴근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신 실장은 "12월4일 새벽 2시쯤 대통령을 모시고 청사에 와서 집무실에 따라 들어갔다. 해제하자고 하니 승인을 했다"며 "제2의 계엄 생각은 없다고 확신을 했다"고도 말했다. 또 4월 이후 비상계엄 조치에 대해 들어본 적은 전혀 없다고 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를 위해 국방부 장관 및 장성급 인사를 단행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저는 대통령의 진의가 왜곡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서는 "선관위가 국민 의혹이 있는 사항에 대해 압수수색을 받아오면 서버 포렌식을 해준다는 발언을 할 게 아니라, 먼저 절차를 다해서 의혹을 털고 가는 게 헌법기관으로서 마땅한 자세라고 보냐"는 질문에 "사실 여부 관계 없이 국민 다수가 의혹을 갖고 있다면 의혹을 해소시키는 게 공직자의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무너진 법과 상식, 국가 리더십 실종…국민들 광장으로 쏟아졌다
"尹 탄핵 반대" 대구 집회 다음은 광주…여당 "언론, 최대 인파 대구 집회 외면해"
이재명 "尹 친위군사쿠데타·주4일제·국민소환제·30조원 추경" [전문]
2030 동대구역 모인 이유는…"尹 석방·자유민주주의 수호" (종합)
우원식 국희의장 만난 시진핑, "올해 경주APEC 참석 진지하게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