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상반기 기준금리를 연 2.50%까지 낮출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제 통상환경 변화와 국내 정치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저성장 우려가 높아진 만큼 경기 방어 차원에서 기준금리 인하에 속도를 낼 것이란 평가다.
11일 국제금융센터가 발간한 '국내 상황에 대한 해외시각 변화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A)·바클리·씨티·골드만삭스·HSBC·JP모건·ING·노무라 등 주요 투자은행(IB) 8곳은 한은이 상반기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연 2.50%로 인하할 것이라고 만장일치로 전망했다.
한은이 1~2분기에 두 차례에 걸쳐 0.25%포인트(p)씩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은이 올해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연 2.00~2.25% 수준으로 0.75~1%p 인하할 것이라는 데도 IB들 의견이 일치했다.
올해 3~4분기에 대한 전망은 엇갈렸다. 바클리·노무라는 한은이 4분기 들어 2.25%로 한 차례 낮출 것으로 예상했고, BOA·골드만삭스·HSBC는 3분기에 2.25%로 내린 뒤 연말까지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씨티·JP모건·ING는 연말 기준금리를 2.00%로 전망했다.
이들 은행이 한은 기준금리가 비교적 빠르게 내려갈 것으로 예상한 건 정치 불확실성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큰 탓이다.
박승민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비상계엄 직후에는 신속한 계엄령 해제 등으로 낙관적 전망도 제기됐으나 탄핵 정국이 전개되면서 정치 불안이 장기화할 가능성에 (IB들이) 주목했다"면서 "정책당국 대응으로 금융시장은 안정적이지만, 내수 부진에 따른 성장 타격이 불가피하며 통화·재정정책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는 시각이 다수"라고 전했다.
한은은 오는 25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연말 미국 기준금리 전망치가 당초 예상보다 점차 높아진 점은 국내 기준금리 인하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은 뉴욕사무소는 이날 보고서에서 "IB 10곳 중 5곳이 올해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횟수를 0회 혹은 1회로 전망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 탄핵 반대" 대구 집회 다음은 광주…여당 "언론, 최대 인파 대구 집회 외면해"
무너진 법과 상식, 국가 리더십 실종…국민들 광장으로 쏟아졌다
이재명 "尹 친위군사쿠데타·주4일제·국민소환제·30조원 추경" [전문]
'尹 검찰총장 후회' 文 고백에…김동연 "마음 아파"
2030 동대구역 모인 이유는…"尹 석방·자유민주주의 수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