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군 이래 최대 군사시설 이전으로 평가받는 대구 군부대 이전지 발표가 한달 남짓 남았다.
국방부가 후보지로 선정한 경북 상주지역은 지난 2년여 간 시민 5만5천여명이 서명에 동참하는 등 유치를 위한 활발한 노력과 뜨거운 열망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각종 모임에서 "상주가 ~하면 '딱이군(軍)'으로 외쳐주세요"란 단골 건배사가 유행했고 시내 곳곳엔 어린이들까지 유치를 기원하는 현수막이 물결을 이뤘다.
상주시와 대구 군부대유치 범시민 추진위원회(위원장 김홍배)는 "대구 군부대가 상주에 이전한다면 대한민국 안보전략 강화는 물론 군인가족들에게도 후회 없는 선택이 될 것"이라며 "군인과 시민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민군 상생 혁신도시가 탄생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 대한민국 안보 강화에 기여
상주는 6곳의 고속도로 나들목을 지닌 사통팔달 교통 중심지다. 서울을 70분대에 오갈 수 있는 중부 내륙고속철도 개통과 2곳의 공항을 연결하는 동서 횡단철도 건설도 앞두고 있는 등 교통 편의성이 압도적이다.
땅이 넓어 적으로부터 피폭 등 공격을 받았을 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주요시설을 은폐할 수 있는 산과 평지, 구릉과 강이 적절히 분포돼 있어 군사시설 입지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다. 향후 군에서 필요한 여타 군사시설 조성 등 확장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고 평가받는다.
경쟁지 가운데 정부부처가 모인 세종시와 육·해·공군 본부가 있는 계룡대와 가장 인접한 곳으로 세종과 대전권 방어의 최적지라는 사실도 상주의 강점이다.
이전해오는 2작전사령부의 책임 지역인 충청·영남·호남 등 주요 군사 거점과의 연결도 원활해 군사 작전의 효율성이 더욱 높아지는 등 국방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쟁 당시 육군 최초의 승리인 상주 화령장전투를 기념하는 전승행사가 매년 상주에서 열리고 있다. 자주포와 탱크 행렬이 지나가자 시민들이 태극기를 흔들어 반기고 있다. 상주시 제공](https://www.imaeil.com/photos/2025/02/11/2025021123231926239_l.jpg)
◆군인가족 복지·생활여건 개선
상주는 군인 가족들의 복지와 생활 여건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상주는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돼 있어 군인자녀들에게 양질의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생활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도 장점이다. 상주시는 민군 상생 복합타운 내 24시간 돌봄센터를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군무원 전용 공공임대주택과 명문 학교 육성 지원, 제대 군인 임대형 스마트팜 지원 책 등을 마련하고 있어 군인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생활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게 상주시의 설명이다.
상주시 관계자는 "군부대 유치 지자체 중 유일하게 공공산후조리원도 운영 중이어서 군인과 군무원 가족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민군 상생 혁신도시로의 변모
한화시스템, 현대로템, LIG넥스원 등 국내 대표적 방산 기업들이 상주를 대구 군부대 이전 최적지라는데 주목하고, 민군상생 혁신도시로 변모시키기 위한 사업 전략을 논의할 뜻을 밝힌 점도 타 후보지와 차별화된다.
여기에다 2차전지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정부의 기회발전특구와 개발규제 완화를 통해 도시혁신을 이룰 수 있는 공간혁신구역특구에 잇따라 지정되면서 정주 여건과 도심 재창조의 변화도 예정돼 있다.
이에 따라 민군 상생 혁신도시로 변모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상주시의 설명이다.
강영석 상주시장은 "정부가 추진 중인 민군 상생혁신정책의 본질은 군과 시민 어느 쪽도 소외되지 않고 최상의 국가안보태세를 유지하는 것"이라며 "기회가 주어지면 대한민국 안보를 강화하고 군인 가족의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민과 함께 모든 역량을 쏟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尹 친위군사쿠데타·주4일제·국민소환제·30조원 추경" [전문]
[정진호의 매일내일(每日來日)] 푸른 뱀의 계절, 의(義)와 불의(不義)가 충돌하다
김종인 "한동훈, 가장 확장성 있는 후보…국힘, 극우 집회 참여 옳지 않아"
이재명 "선거법 항소심 걱정 안 해…3월쯤 판결 예상"
'尹 검찰총장 후회' 文 고백에…김동연 "마음 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