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진숙 "오요안나 사건, 공영방송 MBC에서 발생했다는 사실이 더 큰 충격"

"이번 사태와 관련, 방문진의 대처 지켜볼 것"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12일 경기도 과천시 방통위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12일 경기도 과천시 방통위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탄핵소추 기각으로 업무에 복귀한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12일 고(故) 오요안나 사망 사건을 두고 "이 같은 폭력이 발생한 장소가 공영방송사란 사실은 더 큰 충격을 준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방통위 전체회의에서 "직장 내 괴롭힘은 어떤 말로도 정당화될 수 없는 폭력이다. 오 씨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도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위원장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이하 방문진)의 권태선 이사장이 진상 규명을 촉구했고, 프리랜서들의 노동환경을 개선하도록 MBC에 요구하겠다고 밝혔으니 그 결과를 지켜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방통위는 방송·통신 종사자 누구나 차별받지 않는 환경에서 본연의 역할을 충실하게 일하도록 관련 제도 미비점을 살피고 개선을 유도하며 앞으로 이런 불행이 재발하지 않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또 방문진 이사 임명 처분 집행 정지신청 사건과 관련한 대법원의 신속한 판단도 촉구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해 7월 임기가 만료된 이사들의 후임으로 선정된 이사들이 업무를 시작할 수 있게 대법원이 관련 사건에 대해 조속히 선고해주시기를 요청한다"고 했다.

국회에는 "방통위가 2023년 8월 이후 1년 반이 되도록 두 명의 상임위원만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내가 탄핵당했던 6개월은 1명으로 운영돼 주요 업무가 마비됐다"면서 "방통위를 5인 합의제로 만드는 건 국회의 권한이지 의무다. 한시바삐 5인 체제로 복원해줄 것을 국회, 더불어민주당에 간곡히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고(故) 오요안나 기상캐스터는 아이돌 연습생 출신으로 지난 2019년 춘향선발대회에서 숙으로 당선된 후 2021년 MBC 기상캐스터로 입사했다. 이듬해에는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하는 등 인기를 끌었지만, 지난해 9월 세상을 떠났다.

사망 당시에는 오씨의 자세한 사망경위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지난달 27일 공개된 유서에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일었다.

MBC는 빗발치는 여론에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려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