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정보기관 보고서 "이스라엘, 이란 핵시설 연내 공습할 듯"

트럼프 정부 뒷배 삼아, 이란 핵시설 공격 가능성 높아져
이스라엘 국방장관 "이란의 전력이 크게 약화한 상황"
이란은 핵무기 개발의 최종 단계 돌입 상태

레바논에서 작전을 수행 중인 이스라엘 전투기. 연합뉴스
레바논에서 작전을 수행 중인 이스라엘 전투기. 연합뉴스

이스라엘이 미국을 든든한 뒷배 삼아 이란의 핵시설을 타격할 가능성 높아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현지시간) 미국 정보기관들이 조 바이든 행정부 임기 종료 직전인 올해 초에 이 같은 평가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란의 핵 개발을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다고 보는 이스라엘 입장에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이 핵시설 공습 감행 가능성을 높인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스라엘은 전임자인 조 바이든 전 대통령에 비해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핵시설 공습을 지지할 개연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는 것.

이에 따라 미국 정보기관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 공격을 고려하고 있다는 별도 보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수개월 내에 이란 핵시설 공습이 감행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실제로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지난해 11월 "이란은 그 어느 때보다 핵시설에 대한 공격에 취약해졌다"며 "우리는 이스라엘에 대한 위협을 제거할 기회를 갖게 됐다"고 말했다. 헤즈볼라와 하마스를 포함해 이란의 전력이 크게 약화한 상황이기 때문에 반격의 우려가 과거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을 공습할 경우 미군의 직·간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바이든 전 대통령의 경우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 내부에선 이란 핵시설에 대한 군사적 행동도 배제해서는 안 된다는 매파와 외교적 해결을 우선시하는 비둘기파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파의 경우 미군이 이스라엘군과 함께 공습 작전에 참여하는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에 대한 질문에 "추가 조치를 안 하고도 해결이 가능하다면 좋을 것"이라고 답했다.

대화를 통한 해결을 바라지만, 무력 사용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이야기다. 다만, 미국과 이스라엘이 실제로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습 문제를 논의하더라도, 가자지구와 레바논의 휴전 등 외부 요인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현재 이란은 핵무기 개발의 최종 단계만을 남겨둔 상태다. 2018년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파기 이후 이란은 우라늄 생산을 재개했고, 4개 이상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농축우라늄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란이 탄도 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는 정교한 핵탄두를 만드는데 1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는 게 미국 등 서방 정보기관의 추정이었지만, 현재 이란은 이 기간을 수개월로 단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