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미래차 경쟁력 확보 연구개발에 5천억원 투입

'교통사고 없는 자율주행·희토류 배제 전기차 모터 연구' 등 올해 신규과제 추진
지역부품기업 '혁신 역량 강화'…공동 장비 구축·시제품 제작 지원 600억원 투입

현대차가 첫 전동화 플래그십 SUV 모델인
현대차가 첫 전동화 플래그십 SUV 모델인 '아이오닉 9'를 13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정유석 현대차 국내사업본부장 부사장, 윤동필 MLV전기차성능시험팀 팀장, 김태현 MLV프로젝트5팀 팀장, 지승욱 MLV총합시험팀 책임연구원, 최준석 배터리설계1팀 팀장, 이철민 국내마케팅실장 상무가 아이오닉 9 출시 행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자율주행기술과 전기·수소차 등 미래 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올해 5천억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입한다. 올해는 AI(인공지능)를 사용한 사고 없는 주행 기술, 수입 희토류 의존도를 낮춘 전기차 모터 기술 개발 등을 신규 과제로 채택했다. 지역부품기업의 시제품 개발과 공동 장비 구축 예산도 지원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자율주행 기술·전기차·수소차 연구개발(R&D)에 4천326억원, 지역부품기업 성장 기반 구축 등에 665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총 4천991억원이 투입되며, 지난해보다 566억원이 증가했다.

산업부는 "불확실한 통상 환경과 AI, 자율주행 기술의 진전, 친환경성 강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력과 공급망 확충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고 밝혔다.

올해 신규 과제에는 644억원을 투자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교통사고와 운전자 개입이 없으며 기술의 공평한 활용이 가능한 '3-Zero 자율주행 기술' 확보가 추진된다.

전기차 핵심 기술인 모터의 자석 제조에 활용되는 수입산 희토류(네오디움) 원료를 배제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산업부는 "공급망 안정을 위해 의존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 배터리 일체형 고속 무선충전시스템, 2개 모터 동시 구동 시스템, 배터리 화재 시 열전이 지연 시스템 등 개발도 신규과제로 채택됐다.

지역부품기업의 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해 655억원을 투입해 공동 활용 장비 구축, 상용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한다. 9개 지역 거점별 기반구축사업도 편성해 지역 주도 미래 차 산업 생태계 조성도 유도한다.

연구개발 지원 1차 공고는 14일, 2차는 4월에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