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친노(친노무현)'로 꼽히는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 "추경에 서민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 국민 25만원 지원은 아니다"라며 이재명 대표를 향해 "정신 좀 차리자, 정도를 가자"고 직격했다.
이 전 의원은 14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 추경은 민주당이 바라보는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시금석"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불법 계엄 이후 송년회도 취소되고, 자영업자들은 줄도산 하고 있다. 소비 진작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 국민 25만 원 지원은 아니다. 저소득층 지원과 소비 진작에 집중하자"고 주장했다.
이어 "1조 원만 있어도 예를 들어 500만 원 소액 대출자 2천만 명에게 1% 이자를 줄여 줄 수 있다. 금융시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며 "민주당은 25만원 지원을 추진하려 했지만 정부의 반대로 무산됐다. 지금이야 말로 상인적 현실 감각이 필요하다. 모 아니면 도, 이런 정치는 하지 말자"고 말했다.
이같은 이 전 의원의 발언은 전날 민주당이 5조원 규모의 추경안을 발표하면서 이재명 대표가 주장했던 '국민 1인당 25만원 지급'이 포함된 것을 정면 비판한 모양새다. 이 대표는 지난달 31일 추경 편성에 걸림돌이 된다며 민생회복지원금을 포기할 수 있다고 했지만, 이를 다시 추경안에 포함시켰다.
이 전 의원은 반도체특별법에 대해서도 "주 52시간제는 시간을 가지고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조정하자.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며 "보호해야 할 노동자는 확실히 보호하자.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처럼 고액 연봉자는 제외하자"고 했다.
또 "주 4일제, AI, 재택근무 등이 늘어날 미래를 대비해 근로 시간에 대해 연구해야 한다"며 "노동자의 임금만으로는 살인적인 주택비와 보육 및 교육 비용을 감당 할 수 없다. 국가는 삶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길을 찾아내면서 대타협을 이뤄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대통령, 여야 지도자, 경기지사 등이 시장·군수·지역 주민과 반도체 마라톤 회의를 여러차례 열어 수백조원을 투자하는 반도체 도시를 출범시켰어야 했다"며 "반도체법을 먼저 통과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 전 의원은 "정책은 당 내에서 치열하게 논의해 결정해야 한다. 정책이 결정되면 실천해야 하고, 변경 사유가 생기면 당원과 국민에게 그 과정을 설명해야 한다"며 "이론 없는 정책은 허구다. 정책 없는 정치는 영혼이 없는 정치다. 이론과 정책에는 정도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김상욱, 울산시당위원장 사퇴…"尹 탄핵 나선 것 후회 안 해"
'행번방 논란'에…경찰, 문형배 동창카페 음란물 유포 의혹 수사 착수
이재명, 대장동 1심 공판 출석…당 회의선 "국힘, 극우 정당도 아닌 범죄 정당"
전한길 "尹 탄핵되면 제2의 4·19혁명 일어날 것"
배현진 "문형배, 불법 음란물 2천건 유통 현장 방관…사실 밝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