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민경욱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제21대 총선의 부정선거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주장했다.
황 전 총리와 민 전 의원 등은 1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고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옹호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서울동부구치소에 수감 중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도 법률대리인을 통해 동참했다.
황 전 총리는 "헌법재판소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이 제시한 2020년 4·15총선 당시 인천 연수을 투표자수 검증 요청을 두 차례 모두 기각했다"며 "이는 오히려 윤 대통령의 부정선거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계엄 발령의 당위성을 강하게 뒷받침해주는 사례"라고 했다.
또 윤 대통령과 직접 나눈 이야기라며 "(대통령이) 검찰총장을 해보니까 부정선거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어느 지역이 어떻게 이상하다고 하셨다. 그런데 검찰총장을 그만두면서 그 뒤로는 확인하지 못했다는 취지로 말씀하셨다"고 설명했다.
이어 "윤 대통령의 비상게엄 선포 당시 선관위에는 297명의 게엄군이 배치됐고 이 숫자는 국회 투입 병력인 280명을 상회한다"며 "비상계엄의 방점이 국회보다 선관위에 찍혀 있음을 방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헌재는 비상게엄의 정당성 여부를 갈음하는 부정선거 문제를 충분히 심리하고 변론 기회 역시 충분히 부여하는 것이 마땅함에도 이를 외면하고 있으니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했다.
민 전 의원도 "윤 대통령이 김규현 국가정보원장을 만났을 때 본인의 지난 대선과 관련 '(내가) 큰 차이로 앞서고 있는데 어떻게 (당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게) 0.73% 차이로 이겼는지 의문'이라는 취지로 말씀하신 게 있다"고 전했다.
또 21대 총선 당시 몇몇 선거구에서 '일장기 투표지, 배춧잎 투표지' 등이 쏟아졌음에도 선관위가 선거무효소송을 기각했다며 부정선거 의혹이 규명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부정선거의 실태를 온 국민이 알게 됐다면 22대 총선이 또 다시 부정으로 치러지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러면 윤 대통령도 고뇌 끝에 비상계엄을 결심할 필요도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장관의 법률대리인인 이하상 변호사는 김 전 장관을 대리해 메시지를 낭독했다.
김 전 장관은 "여러분이 사랑하는 자녀의 몸속에서 곧 암 덩어리로 진화될 수 있는 악성종양이 발견됐다면 어떻게 하겠냐"며 "지금 여러분이 사랑하는 대한민국은 악성종양 수준을 넘어 암 덩어리가 발생해 나라의 미래가 위태로운 상황이다. 그 암 덩어리는 바로 부정선거"라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