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홍준표, 김문수 겨냥 "김구가 중국 국적? 어이없는 망발"

홍준표 대구시장,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연합뉴스
홍준표 대구시장,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연합뉴스

홍준표 대구시장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겨냥해 "독립운동의 영웅 김구 선생의 국적이 중국이었다는 망발도 참으로 유감"이라고 쓴소리를 냈다.

15일 홍 시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국민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하는 것은 을사늑약과 한일합방을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일제의 식민 사관"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렇게 보면 일제하의 독립운동은 내란이 되고 강제로 한 혼인도 유효 하다고 보는 것과 다름이 없다"며 "을사늑약과 한일 합방은 강제로 맺어진 무효인 조약이다. 그건 국제법이나 국내법이 인정하는 무효인 조약"이라고 강조했다.

홍 시장은 "그래서 일제하의 우리 국민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하는 것은 망발 이라고 하는 것"이라며 "최근 또 김구 선생의 국적을 중국이라고 기상천외한 답변을 하는 것도 어이가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나라를 구성하는 3대 요소는 영토, 주권, 국민"이라며 "일제시대에는 국민은 있었으나 영토는 빼앗기고 주권도 빼았겼다. 1919년 3월 1일 삼일만세운동 이후 설립된 상해 임시정부시절 부터 국적이 대한민국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국가의 3대 요소 중 국민만 있는 시대였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래서 당시 우리 국민들은 국내에서나 해외에서 모두 무국적 상태로 산 거라고 나는 본다"며 해방이후 나라를 되찾은뒤 비로소 국적이 회복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전날 김 장관은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일제 시대 우리 선조들의 국적이 일본이라는 발언을 했다.

"안중근 의사의 국적이 무엇이냐"라는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김 장관은 "조선 국적"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제시대 때 김구 선생의 국적은 무엇인가"라고 묻자 "김구 선생은 여러가지 국적이 있지만 중국 국적을 가졌다는 이야기도 있다. 국사학자들이 연구해놓은 것이 있다"고 말했다.

다시시 최 의원이 "일제시대 우리 선조들 국적은 무엇인가"라고 물었고 김 장관은 "이 부분은 국사학계에서도 연구가 다 됐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이미 여러 차례 말씀을 드렸다"고 밝혔다.

이어 최 의원이 "일본이라고 했죠"라고 질의하자 김 장관은 "네"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일본 식민지는 (일제가) 다 일본 국적을 강제한 것"이라며 "그것을 우리가 취득한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일제 때 우리 선조의 국적은 일본'이라는 주장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9월 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김 장관은 "대한민국이 일본에 의해 식민지화됐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적은 없었다"며 "국민이 모두 공감하는 올바른 역사관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