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불황이지만 초콜릿은 사야죠… CU, 밸런타인데이 매출 11.6%↑

행사 상품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 11.6% 기록
리락쿠마·뿌직이&빠직이… '무해력' 캐릭터 상품 인기
상품 할인 구매율 48.8%… 최근 3년 중 가장 높아

CU가 장기화된 소비 침체 속에서도 밸런타인데이 상품 매출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 폭을 보였다고 16일 밝혔다. BGF리테일 제공
CU가 장기화된 소비 침체 속에서도 밸런타인데이 상품 매출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 폭을 보였다고 16일 밝혔다. BGF리테일 제공

소비 침체 속에서도 CU의 밸런타인데이 상품 매출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 폭을 보이며 기념일 가치 소비 트렌드가 뚜렷이 드러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CU에 따르면, 밸런타인데이 시즌인 이달 8일부터 14일까지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행사 상품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이 11.6%를 기록했다.

계속되는 불황 등으로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가운데, 올해 첫 편의점의 기념일 행사인 밸런타인데이는 2025년 소비심리지수를 가늠해 볼 수 있는 바로미터다.

이렇게 행사 매출이 상승했다는 것은 잠재적 소비 불씨가 살아있다는 방증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CU는 설명했다.

실제로 2020~2024년 CU의 밸런타인데이의 연도별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을 살펴 보면, 12.3%→-22.8%→54.5%→33.8%→2.0%의 흐름을 이어왔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심화된 2021년은 최근 5년 중 유일하게 매출이 감소했으나, 오랜 펜데믹으로 지금처럼 전반적인 소비가 둔화됐던 2022년엔 오히려 54.6%나 크게 오르며 소비가 살아나기도 했었다.

특히 올해 CU의 밸런타인데이 차별화 상품은 전년 대비 20.5% 더 판매되며 전체 매출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양한 굿즈로 실용성을 강조한 리락쿠마와 에버랜드 뿌직이&빠직이 캐릭터 상품들이 전체 차별화 상품 매출 중 55%의 비중을 차지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또한, CU Npay카드, 카카오페이머니, 토스페이머니 등과 전개한 밸런타인데이 상품 할인 구매율은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48.8%를 기록했는데, 이는 물가 부담을 느낀 고객들이 각종 할인 혜택을 통한 알뜰 소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기념일을 맞아 초콜릿 외 ▷캔디 17.5% ▷젤리 15.7% ▷디저트 13.1% ▷양주 12.0% ▷와인 11.8% 등 품목 매출도 전년 대비 두 자릿수로 올라 초콜릿을 주는 전통적인 밸런타인데이 선물 문화에서 다양한 취향을 중시하는 문화로 변화하는 움직임 역시 포착됐다.

BGF리테일 조준형 스낵식품팀장은 "나를 위한 행복이나 소중한 사람들과의 특별한 순간을 즐기려는 기념일 소비가 일어나며 귀여움과 실용성을 강조한 상품의 매출이 늘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