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 발전의 핵심 축으로 화석 연료 산업을 내세운 가운데 일본이 미국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발 빠르게 구애에 나섰다. 미국과의 관계를 돈독히 해 통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서다. 한국 정부도 알래스카 석유·가스 수입 확대 방안 등을 고심 중이다.
16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미일 정상은 지난 7일(현지시간) 백악관 정상회담에서 일본의 미국산 LNG 구매 확대를 결정했다. 이를 위해 미국과 일본은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가스 합작 사업 논의에 시동을 걸었다.
이번에 일본이 참여하기 위해 노크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그동안 동력 상실로 오랜 기간 멈춰있었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재시동이 걸렸다.
1천300㎞ 길이 가스관을 건설하고 액화 터미널 등 인프라를 구축할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북극해 연안 알래스카 북단 프루도베이 가스전에서 난 천연가스를 송유관을 거쳐 앵커리지 인근 부동항인 니키스키까지 날라 액화한 뒤 수요지로 나르는 프로젝트다. 초기 추산 투자액만 450억달러(64조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일 정상 공동 기자회견에서 국제 가스 사장의 큰손 일본과의 사업 참여 타진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위한 합작 투자 계획 등 미국산 LNG 수출 확대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기도 했다.
한국 정부도 대미 통상 대응책으로 미국산 에너지 구매 확대를 염두에 두고 통상 대응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에너지 대부분을 해외에서 들여오는 한국은 주된 중동산 도입 물량 일부를 미국산으로 돌리는 선에서 대미 무역수지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 한국은 일본에 이어 세계 3대 LNG 수입국이다.
안보 우려가 커진 중동산 의존도를 낮춰 도입선을 다변화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정부는 민간·공공 차원에서 알래스카 석유·가스 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방안 등을 세밀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한국 기업은 액화 터미널, 송유관 건설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때 철강·건설 등 분야에서 참여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 북극해 사업지 특성상 한국이 세계적 기술을 보유한 쇄빙 LNG선 투입 가능성도 높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이 이뤄지려면 수요처가 있어야 하는데 일본만으로는 부족해 미국 입장에서는 한국의 참여도 꼭 필요하다고 볼 것"이라며 "쇄빙선 건조 능력에서부터 송유관 건설까지 한국이 더 직접적인 기술을 보유 중"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머지않아 찾아 뵙겠다" 한동훈 복귀설에… 與 "성급한 판단" 분란 조짐
[단독] 문형배 거짓 논란…헌재, 증인 질문지 선제출 압박했다
신지호 "한동훈, 달걀 세례 받더라도 당원과 진솔한 회한 나눌 것"
[지방대 위기극복 릴레이 기고]대구사이버대 이근용 총장…원격대학 차별, 시대적 역행
이재명 "트럼프 자국 우선주의, 이런 점 우리도 배워야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