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교체' 의견이 '정권 연장'보다 오차 범위 밖에서 우세하다는 여론조사 결과와 더불어 정당 지지도는 오차범위 내에서 4주 만에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17일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3∼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천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선 집권 세력 선호도를 조사(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한 결과,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 의견은 44.5%, '야권에 의한 정권교체' 의견은 51.5%로 집계됐다.
직전 조사와 비교해 정권 교체론은 2.3%포인트(p) 상승했고, 정권 연장론은 0.7%p 하락했다.
정권 연장론과 교체론은 3주간 오차 범위 내에 있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격차가 7%p 벌어지며 오차 범위를 벗어났다.
권역별로는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에서 정권 연장론이 우세했다. 이 지역에서 정권 연장론은 각각 57.4%, 52.6%였다. 반면, 정권 교체론은 이 지역에서 각각 35.6%, 44.1%에 그쳤다.
반면, 정권 교체론은 호남권(64.8%)과 충청권(52.0%), 서울(50.3%), 경기·인천(55%)에서 정권 연장론보다 높았다. 이 지역에서 정권 연장론은 각각 33.9%, 43%, 45.7%, 41%다.
지지 정당별로 국민의힘 지지층과 민주당 지지층이 각각 정권 연장론과 정권 교체론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무당층에선 정권 연장(33.9%)보다 정권교체(40.1%) 의견이 더 많았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41.4%, 더불어민주당이 43.1%로 조사됐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직전 조사와 비교해 1.4%p 하락했고, 민주당은 2.3%p 상승했다.
국민의힘이 4주 연속 지지율 하락을 겪었지만, 민주당은 반등에 성공하며 양당 간 지지율 격차(1.7% 민주당 오차범위 내 우세)는 4주 만에 다시 역전됐다.
이어 조국혁신당은 0.2%p 상승한 3.6%, 개혁신당은 0.2%p 하락한 2.2%였으며 진보당은 0.2%p 상승해 1.2%, 기타 정당은 1.1%로 집계됐다. 무당층은 0.7%p 하락한 7.4%였다.
'여야 차기 대선 주자 중 누가 대통령감으로 적합한지' 물은 조사 결과 이 대표는 43.3%의 답변을 얻어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8.1%로 2위를 차지했다. 오세운 서울시장이 10.3%, 홍준표 대구시장이 7.1%,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5.7%의 응답을 각각 얻었다.
이번 조사는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7.2%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머지않아 찾아 뵙겠다" 한동훈 복귀설에… 與 "성급한 판단" 분란 조짐
[단독] 문형배 거짓 논란…헌재, 증인 질문지 선제출 압박했다
신지호 "한동훈, 달걀 세례 받더라도 당원과 진솔한 회한 나눌 것"
[지방대 위기극복 릴레이 기고]대구사이버대 이근용 총장…원격대학 차별, 시대적 역행
이재명 "트럼프 자국 우선주의, 이런 점 우리도 배워야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