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이 학교 급식소에서 발생하는 끼임·절단 사고를 예방하고자 전국 최초로 '말림방지장갑'을 개발하고, 올해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급식소에 보급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최근 학교 급식소에서는 채소 분쇄기·절단기,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등 회전체 기계를 다루는 과정에서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고무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이 기계에 말려들어 가는 사고가 발생해 심각한 부상을 가져오는 사례도 보고됐다. 절단 사고는 치료와 재활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기능 상실과 기형으로 인한 정신·정서적 피해까지 초래할 수 있다.
경북교육청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해 7월 전국 최초로 '학교 급식소용 말림방지장갑' 개발을 추진했다. 그 결과 최근 개발을 완료한 이 장갑은 끼임과 절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이중 구조로 설계됐다.
'말림방지장갑'은 속 장갑과 겉 장갑의 이중 구조로 구성돼 있다.
속 장갑은 회전체 작업 중 끼임 사고가 발생했을 때 손가락 절취부가 순간적으로 분리되면서 손이 더는 기계에 딸려 들어가지 않도록 설계됐다. 겉 장갑은 실리콘 소재로 제작돼 땀과 수분으로 인한 유착을 방지하고 사고 발생 시 손이 말려들어 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에 개발된 장갑은 산업안전보건법과 학교 급식 위생관리 지침이 상충하는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급식종사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혁신적인 보호구로 평가받고 있다.
경북교육청은 올해 상반기까지 도내 754개 조리교(기관)에 총 8천74벌의 말림방지장갑을 보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급식종사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의식을 높여 학교 급식소 내 혁신적인 안전 문화를 정착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임종식 경북교육감은 "말림방지장갑은 단순한 보호구를 넘어 급식종사자의 생명을 지키는 혁신적 도구"라며 "전국 시도교육청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해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머지않아 찾아 뵙겠다" 한동훈 복귀설에… 與 "성급한 판단" 분란 조짐
[단독] 문형배 거짓 논란…헌재, 증인 질문지 선제출 압박했다
신지호 "한동훈, 달걀 세례 받더라도 당원과 진솔한 회한 나눌 것"
[지방대 위기극복 릴레이 기고]대구사이버대 이근용 총장…원격대학 차별, 시대적 역행
이재명 "트럼프 자국 우선주의, 이런 점 우리도 배워야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