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울릉군은 100만 관광객 유치 준비를 거시적 목표로 삼고 있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선 울릉도와 육지를 이어 주는 안정적 뱃길 확보와 이 항로에 여객선을 운항하는 선사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수다.
하지만 지금의 울릉군정을 보면 이와는 정반대로 엇박자를 내는 모양새다. 섬 주민의 안정적인 해상 이동권 보장을 위해 2023년 7월 취항한 울릉군 공모선이 운항을 시작한 지 1년 만에 협약이 중지되는 파행을 겪으며 향후 운영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게다가 지난해 8월엔 울릉 항로에 여객선을 운항하는 또 다른 3개 선사도 적자를 이유로 들며 그간 주민들에게 혜택을 주던 선사 할인 20%를 올해 줄이거나 없애겠다고 군에 통보한 상태다.
뱃길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울릉군의회가 '농어촌버스 재정 개선 조례' 제정을 추진하자 울릉군은 거부권을 발동하는 등 각을 세우고 있다. 양 기관의 갈등은 아직도 봉합이 안 된 상태다.
이 모든 일이 뚜렷한 해결점 없이 시간만 흐르고, 정치인들은 저마다 원론적인 이야기만 내놓고 있다.
대중교통은 주민 삶의 질 향상과 관광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다. 이 때문에 책임은 행정을 관장하는 울릉군수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군의원·도의원에게도 해당된다.
민선 8기 들어서 유독 울릉군과 군의회가 각을 세우며 끊임없이 잡음을 내고 있다. 군의회는 항상 군과 협치한다고 하지만, 7명의 군의원조차 갈라진 모습에 주민들의 실망이 커져 가는 모양새다.
게다가 군은 주민들에게 장밋빛 청사진만 제시한다. 당면한 일을 보면 기획도 부실하고 준비도 안 됐을 뿐 아니라 더딘 행정에 답답함을 피부로 느끼는 주민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이런 이유에 대해 공직 내부에선 잦은 인사이동에 따른 혼란한 분위기와 엷어진 업무 이해도를 지적하곤 한다. 오죽하면 잦은 인사에 명패 값이 아깝다는 소리까지 나오겠는가. 이 모든 피해는 온전히 주민 몫이다.
행정은 주민들에게 앞으로 다가올 사안과 닥친 일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행위다.
정말 울릉군은 여객선사와 관련한 사안에 대해서 그간 대응할 시간이 없었는지 되묻고 싶다. 정치인들은 민선 8기 짧은 시간에 선사 담당자가 몇 번 바뀌었는지, 왜 선사들이 군 행정을 불신하는지 돌이켜 봐야 할 것이다.
의회의 모습도 아쉽긴 마찬가지다. 행정에 대한 타박과 의정 활동 홍보에 앞서, 실질적으로 주민이 필요로 하는 일에 먼저 나서고 군과 함께 협치하는 모습을 군민은 바라고 있다.
울릉군은 보다 적극적으로 의회와 소통해야 한다. 의회와의 분란은 공무원과 주민을 힘들게 할 뿐이다.
요즘 일부 공무원들은 주민을 위한 행정이 아니라 행정을 위한 행정을 펼치고 있는 듯하다. 일부 정치인들도 주민들을 뒤로한 채 자기들만의 '마이웨이'를 걷고 있는 모습이다.
평소 지역 정치인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모두 "주민을 위한다. 나무보다 숲을 봐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정작 행동하는 모습은, 숲은 없고 나무만 보고 다투고 있는 모양새다.
정치인의 무능과 변명은 주민 삶을 힘들게 할 뿐 아니라 주민들 사이를 반목하게 만든다. 넓게 보자면 민주주의의 적이 될 수도 있다.
최소한 주민과 밀접한 사안에 대해선 다음 선거나 눈앞의 이익만 좇지 말고 정무적 판단으로 서로 합심해 대응하는 것, 그것이 울릉군수와 울릉군의원, 도의원에게 바라는 모습이다.
댓글 많은 뉴스
[기고-안종호]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공정성 담보해야
한동훈 '비상계엄' 다룬 책, 예약판매 시작 2시간 만에 댓글 600개 넘어
인요한 "난 5·18때 광주서 시민군 통역…尹과 전두환 계엄 달라"
전한길 '尹 암살설' 주장…"헌재, 尹 파면 시 가루 돼 사라질 것"
이재명 '중도보수' 논란에 "DJ·文도 말했다…흑백만 있는 것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