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명대가 미국 오번대(Auburn University)와 공동 운영하는 '3+2학위제'가 글로벌 인재 양성의 성공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이 과정을 통해 배출된 졸업생들이 애플, 현대 모비스, 삼성SDI 등 세계적인 기업에 취업하며 프로그램의 우수성이 다시 한번 입증했다.
계명대 기계공학과는 2012년 오번대와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한 후,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3+2학위제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다. 계명대에서 3년, 오번대에서 2년을 이수하면 양대학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올해까지 계명대 학생 23명이 파견됐으며 5명은 현재 오번대에서 석·박사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18명은 취업에 성공했으며 이중 16명은 미국 내 기업에서 근무하며 글로벌 엔지니어로 활약하고 있다.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유경진 졸업생이다. 유 씨는 2018년 오번대에 진학한 후, 석·박사 과정을 거쳐 현재 애플에서 배터리 품질 평가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다. 그는 배터리 알고리즘을 최종 검증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제품의 성능과 안전성을 책임지는 핵심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2016년 1기 졸업생을 시작으로 현대트랜시스, HL 만도, 삼성SDI, SK 온 아메리카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에 진출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내 취업 비율이 높아지면서 현지 기업에서 한국 출신 공학 인재의 역량을 인정하는 분위기도 확산되고 있다.
3+2학위제는 계명대 등록금으로 오번대에서 수학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유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국 내 인턴십과 연구원 활동 기회가 주어져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3+2학위제를 통해 오번대에 진학한 학생들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글로벌 기업 진출도 이어질 전망이다.
박홍래 지도교수(기계공학과)는 "계명대-오번대 3+2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글로벌 무대에서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며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적인 기업에서 활약하는 졸업생들을 볼 때마다 자부심을 느낀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