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김수용] 해저 케이블

김수용 논설실장
김수용 논설실장

지구에는 아시아와 미(美) 대륙을 연결하는 2만㎞ 길이의 케이블을 비롯해 500개가 훨씬 넘는 통신선이 평균 수심 3천600m 바다 아래에 깔려 있다. 전체 길이 140만㎞에 이르는 해저(海底) 케이블은 세계 인터넷 통신량의 99% 이상을 처리한다. 인공위성이 처리하는 통신량은 해저 케이블의 1%도 채 안 된다. 세계적 빅테크 기업들이 천문학적 금액을 투자해 앞다퉈 해저 케이블 설치에 나서는 이유다. 영상 스트리밍 시대가 열리면서 데이터 사용량이 폭증하자 올해까지 100억달러 이상을 투입해 해저 케이블 44만㎞를 추가 설치한다고 밝혔다. 세계 해저 케이블 시장은 2022년 49억달러에서 2029년 217억달러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모회사인 메타플랫폼은 14일 세계 최장 해저 케이블 구축(構築) 프로젝트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프로젝트 워터워스'(Project Waterworth)가 완료되면 5개 대륙에 걸쳐 지구 둘레보다 긴 5만㎞ 길이의 세계 최고 기술을 사용하는 세계 최장 해저 케이블이 깔리게 된다.

이처럼 방대한 해저 케이블망이 국가 간 새로운 분쟁 원인으로 등장하고 있다. 해저 케이블은 매우 굵고 튼튼하게 제작되지만 의외로 끊김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어선이나 고래, 지진과 해저 산사태 등 불가피한 원인뿐 아니라 고의적(故意的) 절단 사고도 있다. 이를 '하이브리드 전쟁'으로 부르는데, 군사적 충돌 없이 상대국에 사이버 테러, 경제 압박 등 치명적 타격을 줄 수 있어서다. 지난해 11월 북유럽 해저 케이블 2개가 절단됐는데, 유럽 당국은 중국 선박 '이펑 3호'가 고의로 닻을 끌어 케이블을 끊었다고 의심한다. 2023년 10월 발생한 해저 가스관과 케이블 파손은 우크라이나 지원을 저지하려는 러시아 소행으로 의심된다. 지난달 3일 대만해협에서 발생한 해저 케이블 손상은 중국 화물선 '순싱 39호' 때문으로 추정된다. 강대국들은 해저 케이블 도청과 절단 임무를 수행하는 원자력 잠수함까지 보유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중국의 해저 케이블 시장 참여를 적극 견제(牽制)하는데, 지난해 3월 미 하원은 자국 해저 케이블 기술의 중국 수출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송유관 가스관보다 해저 케이블 보호가 더 절대적인 시대가 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