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준 대구의 농·축협지역조합 적자 비율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역시 네 번째로 높은 적자 비율을 보여 전국 상위권에 꼽혔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농·축협 지역조합의 부실 채권이 급증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임미애 국민의힘 의원(비례)이 전국농업협동조합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기준 농·축협 지역조합 중 적자를 기록한 조합은 총 52곳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23년 기준 적자 조합이 19곳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3배 가까이 폭증한 수준이다. 2022년만 해도 적자 조합 개수는 18곳, 2021년에는 3곳, 2020년엔 6곳에 그쳤다.
대구경북의 적자 조합 비율도 전국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대구(9.09%)는 전국 2위, 경북(6.62%)은 4위였다. 이외에도 경남(10.22%), 대전(7.14%), 충북(6.15%), 충남(5.59%) 등의 적자 조합 비율도 5%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10억 이상 20억 미만인 조합이 14곳으로 가장 많았고 1억 이상 10억 미만인 조합은 13곳이었다. 50억 이상 적자가 난 조합은 2022년 1곳, 2023년 4곳이었는데 2024년 들어 14곳으로 크게 증가했다. 200억 이상 적자가 난 조합도 1곳 있었다.
이처럼 지역조합이 휘청이는 데에는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해 농·축협 지역조합의 공동대출 연체율이 크게 증가했다. 공동대출의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생(PF)에 직접 대출을 받지는 못하지만 개발 과정의 브릿지론 대출은 취급할 수 있게 돼 있다. 건설 경기 침체로 부동산 개발이 어려워지자 브릿지론 대출마저 부실 단계로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임미애 의원은 "지역조합 적자 상황이 계속 이어질 경우 조합원 배당금 지급 중단, 조합 자산 매각 등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조합원 탈퇴로 인해 조합 설립 인가가 취소될 수도 있다"며 "경기 침체가 일순간에 이뤄진 게 아니고 장기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부실 채권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기고-안종호]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공정성 담보해야
한동훈 '비상계엄' 다룬 책, 예약판매 시작 2시간 만에 댓글 600개 넘어
전한길 '尹 암살설' 주장…"헌재, 尹 파면 시 가루 돼 사라질 것"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 "공수처, 위법 수사 드러나"…서울중앙지법 영장 기각 은폐 의혹 제기 [영상]
인요한 "난 5·18때 광주서 시민군 통역…尹과 전두환 계엄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