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후 경북 봉화군청소년센터에서 박현국 봉화군수와 군·도의원, 환경전문가, 산업폐기물 매립장 반대 추진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봉화읍 도촌리 산업폐기물 매립장 건립 반대 환경포럼이 열렸다.
이번 포럼은 봉화지역의 환경과 사회, 건강, 공동체 등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고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제발표로는 공익법률센터 하승수 변호사의 '산업폐기물 관련 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시작으로 황선종 내선청보존회국장의 '산업폐기물의 환경적, 사회적, 건강적 영향', 곽상수 난개발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한 고령군 대책위원장의 '산업폐기물 문제와 대책' 발표가 이어졌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신기선 산업폐기물 매립장반대 공동추진위원장(환경운동에 관한 제언)과 박창욱 경북도의원(산업폐기물 매립장 반대 연대), 이승훈 봉화군의원(폐기물 매립장 관리실태)이 패널로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다음으로는 ▷주민들과의 질의응답 ▷종합토의 및 결의문 작성 ▷산업폐기물 매립장 반대 결의문 채택 등이 이어졌다.
현재 산업폐기물 매립장 건립이 추진되는 봉화읍 도촌리 357번지 일대는 과거 산업폐기물 소각장 허가가 추진되다 주민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던 곳이다.
폐기물 종합처리업체인 ㈜제이픽컴퍼니가 계획 중인 도촌리 매립장은 약 24만 9천㎡(약 7만 5천평) 규모로 일반 및 지정폐기물을 포함, 최대 260만t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로 매립면적은 8만 3천311㎡(약 2만 5천200평)에 달한다.
경북 북부지역 최초로 추진되는 지정폐기물(폐합성고무와 화학물질 등 포함) 매립장이 완공되면 2027년부터 2042년까지 15년간 운영될 예정이지만 허가는 환경부와 봉화군의 승인이 필요하다.
주민들은 "산업폐기물 매립장은 지역 환경과 주민 건강권을 심각하게 침해할 수 있다. 청정지역 봉화에 환경오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지정폐기물이 포함된 시설이 들어오는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날 박현국 봉화군수는 "미래 세대를 위해 청정 봉화 100년을 구상 중인데도 불구하고 도촌 폐기물 매랍장이 환경청으로부터 허가가 나온다면 1호 매립물은 봉화군수가 될 것"이라며 "매립장 허가는 절대 내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역 주민들은 5일장마다 봉화읍 엄약국 앞 도로에서 매립장 건립 반대 집회를 이어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기고-안종호]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공정성 담보해야
한동훈 '비상계엄' 다룬 책, 예약판매 시작 2시간 만에 댓글 600개 넘어
인요한 "난 5·18때 광주서 시민군 통역…尹과 전두환 계엄 달라"
전한길 '尹 암살설' 주장…"헌재, 尹 파면 시 가루 돼 사라질 것"
이재명 '중도보수' 논란에 "DJ·文도 말했다…흑백만 있는 것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