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崔대행 "가용자원 총동원 AI 'G3' 도약"

"세계 최고 수준 AI 개발에 집중 지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대통령 직속 자문회의로서 반도체 분야 민관 협력을 뒷받침하며 위원장은 대통령이다.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대통령 직속 자문회의로서 반도체 분야 민관 협력을 뒷받침하며 위원장은 대통령이다. 연합뉴스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출현을 계기로 그동안 미국이 주도하던 AI 패권전쟁이 미국·중국 간 G2(주요 2개국) 구도로 급변한 가운데 정부가 국가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한국을 AI 'G3'로 도약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민관이 힘을 모아 국가 AI 역량 강화를 빠르게 추진해야 할 중대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최 권한대행은 "정부는 빠른 시일내에 세계 최고 수준의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고, AI 핵심 인재 양성과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강화하겠다"면서 "컴퓨팅 자원과 데이터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AI 활용과 산업화에서 세계 1등이 될 수 있도록 AI 스타트업 육성과 시장 창출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회의에서 정부는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 ▷AI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AI 활용 확산방안 ▷AI 데이터 확충 및 개방 확대방안 등 안건 3건을 발표했다. 특히 '국가대표 AI팀'을 선발해 데이터, 그래픽처리장치(GPU), 연구비를 전폭 지원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정부는 여기에 더해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2026년 상반기까지 고성능 GPU 1만8천장을 확보하고, AI 인재 양성을 위한 '글로벌 AI 챌린지' 개최와 AI 프론티어랩 확대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 지원과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최 권한대행은 "AI 활용과 산업화에서 세계 1등이 될 수 있도록 AI 스타트업 육성과 시장 창출을 지원하겠다"며 "AI 유니콘 5개 육성과 중소기업의 AI 활용률 50% 목표를 설정하고, 2027년까지 100개의 제조 AI 전문 기업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했다.

국가AI위원회는 지난해 9월 민관 합동 국가 AI 정책 컨트롤타워로 출범했다. 민관이 함께 국내 AI 생태계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를 논의한다는 목적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