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버스가 10년 만에 새로운 체계를 갖춘다. 외곽지와 도심을 빠르게 연결하는 직행버스가 도입되고, 급행 노선도 일부 조정돼 대중교통 이용이 한층 편리해진다. 도시철도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주요 신도시와 산업단지를 잇는 노선이 신설돼 교통망이 재편된다.
굴곡·중복노선이 조정되면서 배차 간격은 기존 15분에서 14.7분으로 줄고, 전체 운행구간은 1천42.3㎞에서 1천139.3㎞로 늘게 된다. 추가 재정 지원 없이 버스 서비스 개선 효과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을 지에 관심이 쏠린다.
◆직행 신설…도심 외곽지와 중심부 신속 연결
이달 24일부터 시행되는 대구시 노선 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이전까지 없던 직행 노선 2개가 신설된다는 점이다. 직행버스는 4~5개 정류장을 정차하면서 먼 거리를 빠르게 이동하는 데 중점을 뒀다. 정류장 수와 노선 굴곡도를 최소화해 긴 거기를 최대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직행1은 북구 학정동과 경산 영남대를 오가는 연결 노선이다. 학정청아람과 칠곡그린파크, 신기역, 영남대학교 등 4개 정류장에만 거친다. 편도 31㎞ 거리로, 기점에서 종점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55.1분으로 비교적 빠른 편이다.
직행2는 국가산업단지와 동대구역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정류장은 기·종점을 포함해 모두 5개뿐이다. 달성화성파크드림앞(과학마을청아람앞)과 유가읍행정복지센터, 2.28기념중앙공원 등을 경유한다.
◆급행은 일부만 존치…간선·지선도 다수 변경
급행노선은 11개에서 12개로 개편한다. 2개를 폐지하고 3개를 신설한다. 5개 노선은 일부 변경해 운영한다. 신설은 ▷급행9-2(동호동~삼국유사면) ▷급행9-3(동호동~소보면) ▷급행10(대천동~반야월) 등이다. 2023년 7월 군위군이 대구로 편입되면서 대구 북구 동호동과 군위군을 노선이 도입됐다.
변경되는 노선은 급행2, 급행8(-1), 급행9(-1) 등이다. 급행2의 경우 종점을 기존 가창초교에서 냉천전원음식점지구(스파밸리 부근)로 단축하고, 도남지구를 경유하도록 바뀐다.
급행8은 종점을 기존 상리동 위생처리장에서 서대구역으로 단축했다. 급행8-1은 유가사입구사거리를 경유하게 된다. 급행9는 군위 전통시장 인근을 경유하는 방향으로, 급행9-1은삼산리, 화본1리, 모산리 등 거치는 노선을 변경된다.
전체 노선 중 승객 비중이 가장 큰 간선노선의 경우 기존 61개에서 60개로 개편된다. 신설과 폐지 노선은 각각 6개다. 31개가 변경되고, 24개는 존치한다.
새로운 노선은 ▷320(검단동~앞산공원) ▷326(대곡동~종합유통단지) ▷501(성서산단~연경동) ▷504(방천리~두리봉터널) ▷520(매곡리~반월당) ▷725(동호동~매곡리) 등이다. 이들 노선은 외곽의 신규 주택단지인 연경동과 서재, 다사, 칠곡지구 등과 도심 중심부 연결한다. 기존의 234, 449, 518-1, 750, 849-1, 909 등은 폐지된다.
마을버스 성격을 띄는 지선노선은 50개에서 53개로 늘어난다. 7개가 없어지는 가운데 9개가 새롭게 편성됐다. 18개를 노선 일부를 조정했다.
신설 지선은 ▷남구2(앞산공원~방천리) ▷달서2(대곡동~앞산공원) ▷달서6(대곡동~봉덕동) ▷북구6(검단동~대구은행역) ▷북구7(관음동~서대구역) ▷북구8(관음동~사수동) ▷서구2(방천리~상인동) ▷수성5(가창~두리봉터널) ▷수성6(반야월~들안길) 등이다.
◆서대구역 접근성 개선…신암뉴타운·도남지구 노선 신·증설
이번 개편의 특징은 서대구역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신규 주거단지로 가는 노선을 대거 확충했다는 점이다. 2022년 문을 연 서대구역은 대중교통이 불편한 탓에 인근 주민들로부터 개통 효과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시는 남구2와 서구2를 신설해 서대구역과 앞산공원, 장기동·월성동을 연결하기로 했다. 서대구역을 지나던 칠곡6을 폐지하는 대신, 725와 북구7을 신설해 칠곡지구와 서대구역을 잇는다.
곳곳에 들어선 대규모 주택단지의 버스 수요에도 대응한다. 대표적으로 동구 신암뉴타운과 북구 도남지구에 노선을 증설하거나 기존 노선을 추가로 경유하도록 했다. 수성4의 경우 큰고개오거리(동대구역 방향)를 경유하고, 413은 동대구역 방면 운행 시 신암북로(동북로~파티마병원)를 지나도록 각각 변경했다. 또 급행2와 706이 도남지구를 운행하도록 변경해 도심과의 접근성을 개선했다.
노선 개편을 통해 금호지구와 세천지구의 통학 수요 증가에 따른 이용 불편도 해소했다. 금호지구에는 고등학교가 없어서 북구 태전동에 위치한 매천고, 강북고, 영송여고로 통학하게 되는데, 북구 8을 신설해 학교들을 경유하도록 했다.
세천지구의 경우 중학교가 없어, 학생들이 서재에 있는 서재중, 서동중으로 통학할 수 있게 725를 신설, 죽곡리~세천리~서동중·서재중을 지나도록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탄핵심판 선고 D-1…이재명 "尹계엄에 최대 1만명 국민 학살 계획 있었어"
[시대의 창-김노주] 악의 '일상화'를 피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