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북의 어업생산량은 10만3천톤으로 재작년에 비해 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고등어, 멸치, 갈치, 꽃게 등 생산량이 상당폭 감소했고, 참조기, 젓새우류, 문어류 등은 생산량이 증가했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어업생산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경북의 어업별 생산량은 연근해업 10만1천454톤(93.51%), 해면양식업 5천276톤(4.86%), 내수면어업 1천768톤(1.63%) 등으로 나타났다.
경북의 어업생산금액은 4천923억원으로 전년대비 2.3% 증가했다. 연근해업 4천248억원, 해면양식업 483억원, 내수면어업 192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강원과 경북을 통틀어 주요품종으로 청어, 방어류, 살오징어, 대게류 등을 꼽았다.
지역별 생산량은 전북전남이 192만8천톤(61.6%)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울산경남 77만톤(24.6%), 강원경북 11만5천톤(5.0%) 순이었다.
지난해 전체 어업생산량은 361만톤으로 재작년 369만1천톤 대비 8만1천톤(-2.2%) 감소했다.
어업생산금액은 10조918억원으로 재작년 9조4천369억원 대비 6천549억원(6.9%) 감소했다.

◆연근해어업·해면양식업 생산량 감소
어업별 생산량은 연근해어업은 84만1천톤으로 재작년 95만2천톤 대비 11만1천톤(-11.6%) 감소했다.
생산금액은 재작년 4조3651억원에서 지난해 4조1763억원으로(-1천888억원, -4.3%) 감소했다.
통계청은 유입 어군이 늘어 청어, 참조기, 젓새우류, 문어류 생산량은 증가한 반면, 고등어, 멸치, 갈치, 살오징어 등은 고수온 영향으로 어군형성이 부진해 자원량이 줄었다고 밝혔다.
품목별 생산량은 고등어는 재작년 16만3천톤에서 지난해 13만4천톤으로 감소했다.
멸치는 14만7천톤에서 12만톤, 갈치는 6만톤에서 4만4천톤, 살오징어는 2만3천톤에서 1만3천톤, 꽃게 2만3천톤에서 1만4천톤으로 감소했다.
반면, 청어는 재작년 2만1천톤에서 2만7천톤으로, 참조기는 1만5천톤에서 1만7천톤, 젓새우류는 1만3천톤에서 1만7천톤, 문어류는 8천300톤에서 1만100톤으로 증가했다.
해면양식업 생산량은 224만9천톤으로 재작년 228만5천톤 대비 3만6천톤(-1.6%) 감소했다.
생산금액은 재작년 3조1838억원에서 3조7118억원(5천280억원, 16.6%) 증가했다.
통계청은 양성호조, 시설량이 증가 등으로 감성돔, 흰다리새우, 오만둥이, 곰피 등 생산량은 증가한 반면, 작황 부진, 시설량 감소로 바지락, 꼬막류, 우렁쉥이, 다시마류 등은 생산량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품종별 생산량은 다시마류는 재작년 59만6천톤에서 지난해 54만2천톤으로 감소했다.
우렁쉥이 2만4천톤에서 1만6천톤, 바지락 1만3천톤에서 2천300톤으로 많 감소했다.
◆전체 어업 생산·생산액 감소…원양어업만 증가세
원양어업 생산량은 47만9천톤으로 재작년 41만1천톤 대비 6만8천톤(16.7%) 증가했다.
생산금액은 1조2천40억원에서 1조5258억원(3천218억원 26.7%) 증가했다.
통계청은 태평양의 가다랑어, 대서양의 오징어류, 한치류 등은 조업 확대로 생산량이 증가했고, 태평양의 황다랑어, 눈다랑어, 남빙양의 남극크릴 등은 원양트롤어업의 조업 축소로 생산량이 줄었다고 밝혔다.
어종별로 가다랑어는 재작년 20만1천톤에서 지난해 24만9천톤, 오징어류는 3만1천톤에서 6만3천톤, 한치류 2천톤에서 1만톤으로 생산량이 증가했다.
황다랑어 6만톤에서 5만6천톤, 눈다랑어 2만4천톤에서 2만2천톤, 남극크릴 3만5천톤에서 1만5천톤으로 생산량이 감소했다.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4만1천톤으로 재작년 4만3천톤 대비 2천톤(-5.4%) 감소했다.
생산금액은 6천840억원에서 6천779억원(-61억원, -0.9%) 감소했다.
통계청은 주요 양식어종인 메기, 향어, 붕어류 등의 생산량이 증가한 반면, 양성 부진, 소비 둔화 등으로 송어류, 우렁이류, 재첩류 등은 생산량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어종별로 메기는 재작년 2천500톤에서 3천100톤, 향어 1천700톤에서 1천900톤, 붕어류 2천100톤에서 2천400톤으로 생산량이 증가했다.
우렁이류 1만톤에서 7천900톤, 숭어류 2천800톤에서 2천300톤, 재첩류 500톤에서 300톤으로 생산량이 감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기고-안종호]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공정성 담보해야
한동훈 '비상계엄' 다룬 책, 예약판매 시작 2시간 만에 댓글 600개 넘어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 "공수처, 위법 수사 드러나"…서울중앙지법 영장 기각 은폐 의혹 제기 [영상]
전한길 '尹 암살설' 주장…"헌재, 尹 파면 시 가루 돼 사라질 것"
인요한 "난 5·18때 광주서 시민군 통역…尹과 전두환 계엄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