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21일 "감옥 가서 그렇게 고생한 분이 나와서 또 계엄이다? 그건 아닐 것 같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안전점검 당정협의회에 참석한 후 기자들이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면 제2의 비상계엄을 할 것이란 우려가 있다'고 질문하자 이같이 답했다.
그는 "계엄 한 번 선포하고 저렇게 고생하는데, 온갖 욕을 먹고"라며 "자기 평생에 이런 고생 해본 적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감옥가는 걸 그렇게 어렵게 생각 안합니다만"이라고도 덧붙였다.
김 장관은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대비한 '플랜B'를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대통령이 돌아오길 바라고 있다"며 "대통령이 돌아오셔서 국정이 빠른 시간 내에 안정을 찾고 정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변론을 오는 25일 종결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도 김 장관은 "졸속 재판"이라며 "자기들 편의에 따라 5000만 국민이 민주적 선거로 뽑은 대통령을 파면하고 그만두라고 하는 것은 국민 주권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장관은 헌재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형사 재판 속도와 비교하는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김 장관은 "반면에 이재명 재판은 몇 년째냐. 대장동 사건 등도 너무 안한다"면서 "재판 속도가 얼마나 늦어지는지 국민들이 느끼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장관은 당이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지 않아 중도층 이탈이 가속화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당이 중도층하고 거리가 멀다는 말은 처음 듣는다"며 "그렇다면 당 지지도가 이렇게 (높게) 나올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그는 다만 "탄핵이 되든 안 되든 국론이 분열될 우려를 어떻게 잘 수습하고 통합하느냐는 부분에 대해 굉장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전날 여·야·정 대표가 모인 국정협의회 4자 회담에서 이 대표가 반도체특별법의 주52시간 노동 예외조항을 반대한 것과 관련해 "우리나라 산업의 초격차 유지, 주력 산업의 발전을 이야기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