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경찰서가 추진한 시외권 중심지역관서제(선산, 산동) 도입이 시민들의 반대로 무산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경찰은 지난 22일 강명구 국민의힘 의원(구미을) 사무실에서 열린 중심관서제 실시 관련 관계기관 대책회의에서 해당 제도를 추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경찰 등에 따르면 구미 시외권 중심지역관서제는 주간파출소 3곳의 인력, 장비를 중심파출소 1개소로 집중 배치해 운영하는 제도다.
구미경찰서는 선산파출소(고아, 무을, 옥성)와 산동파출소(장천, 해평, 도개)를 중심파출소로 지정하고 근무 체계를 3조 2교대에서 4조 2교대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기존 파출소는 계속 운영되지만 소장 1명이 근무하고, 주야 상시로 순찰차 근무가 이뤄지는 방식이다.
구미 시외권은 시내권에 비해 신고가 적지만 3조 2교대에 따른 야간근무 과다로 경찰관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고, 대기 위주의 소극적 근무에서 탈피해 중요 사건에 총력 대응하기 위해 제도 도입을 추진했다는 것이 경찰의 설명이다.
하지만 지역사회에서는 치안공백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이 큰 상황에서 경찰의 명분이 부족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대 주민들은 중심관서제 실시 관련 관계기관 대책회의에서 "범죄 예방 효과를 고려해 파출소를 그대로 둬야 한다", "시외권 출동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등의 목소리를 냈다.
시외권 중심지역관서제 도입시 선산파출소는 총면적 223㎢, 산동파출소는 237.9㎢를 관할하면서 중심파출소에서 출동 지역까지 최장 25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중심관서제 도입 예정 지역에서는 1천여 명의 반대 서명과 '불안한 지역치안', '파출소 축소운영을 반대한다' 등의 플래카드가 곳곳에 걸렸다.
일각에서는 경찰이 구미 시외권 중심지역관서제를 추진하기에 앞서 지역 정서를 우선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주민은 "경북 최초로 서장 계급이 경무관으로 상향된 이후로도 최근 무을면 70대 이장의 성범죄 사건, 구미경찰서 유치장 자살 사건 등 엽기적인 사건이 구미에서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치안 사각지대가 더욱 많아질 수밖에 없는 중심지역관서제는 불안감만 더욱 확대시킨다"고 말했다.
구미경찰서 관계자는 "경찰은 국민을 위해 있다는 생각으로, 시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결정을 내리겠다는 것이 구미경찰서의 입장"이라며 "현재 주민들의 반대가 심하기 때문에 중심지역관서제 도입 추진을 중단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국 곳곳 이어지는 '탄핵 반대' 목소리… 이번엔 대전서 '윤 탄핵 반대' 세력 집결
'탄핵 반대' 대전 집회, 30만명 예상…매일신문 전한길 강사 연설 등 현장 생중계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 "공수처, 위법 수사 드러나"…서울중앙지법 영장 기각 은폐 의혹 제기 [영상]
이재명 '중도보수' 논란에 "DJ·文도 말했다…흑백만 있는 것 아냐"
신평 "한동훈, 키워준 尹 배신…탄핵소추·구속 방아쇠 당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