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해진 전남대 석좌교수가 '영남인물고' 1권을 출간했다.
'영남인물고'는 1798년 채제공 등이 정조의 명에 따라 영남지역 57개 고을, 860명 인물의 간략한 생애와 주요 행적을 각종 문헌에서 뽑아내고 군현별로 차례로 편집한 문헌이다. 총목과 도목, 권1~권15를 합하여 총 17책으로 이루어진 유일의 필사본이다.
원래 규장각에 보관해 오던 '영남인물고'는 1909년 이토 히로부미가 한일관계 조사자료로 66종 938권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7책을 가져갔고 2011년 조선왕조 서적이 일본으로부터 반환될 때 '영남인물고' 7책도 환수됐다.
'영남인물고' 번역작업은 1967년 강주진 등에 의해 규장각 소장본 10책이 번역, 출간됐으나, 그 이후로는 재번역된 적이 없으며, 학술적 주석 작업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신해진 교수가 출간한 '영남인물고'는 사실(史實)에 인물의 행장⋅언행록⋅비문⋅제문 등의 원래 문적에서 초록해 정밀한 학술적 주석을 달았을 뿐만 아니라 원래 문적까지 번역, 수록해 튼실한 학문적 토대를 구축했다.
신 교수는 "영남지역 인물 간 동질성을 구축한 의식기반의 초연결성을 확인해 지역 유대 및 학문적 공통 성향 등의 맥락을 살필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5년 안에 완역을 목표로 정진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신해진 교수는 지난해 8월에 전남대 교수를 정년 퇴임한 후 개교 이래 인문대학 첫 석좌교수로 임용됐다. 용봉학술상(2019), 2회 연속 용봉학술특별상(2021, 2022), 용봉학술대상(2024)을 수상했으며, 제6회 대한민국 선비대상(2024)을 수상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전국 곳곳 이어지는 '탄핵 반대' 목소리… 이번엔 대전서 '윤 탄핵 반대' 세력 집결
홍준표 "조기 대선 시 시장직 사퇴…내가 집권하면 TK현안 모두 해결"
'탄핵 반대' 대전 집회, 30만명 예상…매일신문 전한길 강사 연설 등 현장 생중계
[단독] 국가보안법 전과자, 국회에 몇 명이나 있을까?
신평 "한동훈, 키워준 尹 배신…탄핵소추·구속 방아쇠 당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