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열릴 탄핵 심판 마지막 변론 최종 진술에서 개헌안을 꺼내는 방법으로 정국 정면 돌파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임기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혀온 윤 대통령은 "개헌으로 국가 대개조를 이뤄야하며 이는 자신의 마지막 소임"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개헌이라는 제도적 처방이 중심이 된 국가 대개조 호소를 내놓을 것이라는 여권 내부 관측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최종 진술과 관련, ▷12·3 비상계엄의 정당성·불가피성 ▷법 테두리 안에서 적법하게 이뤄진 점 ▷탄핵 변론 소회·국민 통합 메시지 등을 담아낼 것으로 전망된다. 윤 대통령은 또 갈수록 심화하는 것은 물론, 치유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여야간 정치적 교착을 타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헌안을 제시해 이미 국민적 공감대를 이룬 개헌 동력에 가속도를 붙일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계엄 및 탄핵 사태 초기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여야가 합의할 경우 어떤 방식이든 개헌안에 따르겠다는 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읽힌다.
정치적 위기에 몰린 대통령이 개헌 카드를 꺼내든 사례는 과거에도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6년 10월 국정농단 사태로 야권의 거센 공세에 봉착하자 국회 시정연설에서 개헌 추진을 공식화한 바 있다.
당시보다 현재 개헌 요구가 훨씬 강하다는 게 정치권 분위기다. 여야는 물론 법조계, 시민사회를 막론하고 전방위적으로 1987년 체제를 청산하고 개헌을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분출되고 있다. 탄핵 선고 이후 어떤 결과가 나오든 상관없이 국론 분열을 막기 위해서라도 개헌 카드를 검토해 볼 만하다는 관측이다.
법조계 한 관계자는 "현재 권력 구조로는 다수당의 입법 독재를 막을 수 없다. 이 때문에 계엄을 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아니냐"며 "대통령이 개헌에 앞장서고 향후 정치 일정을 여기에 맞추겠다는 뜻을 피력하면 개헌에 대한 국민 수용성이 높아지고 개헌 속도가 훨씬 빨라지면서 궁극적으로 정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윤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는 지난 23일 임기 단축 개헌안과 관련해 '윤 대통령 뜻과 다르다'며 일단 선을 그었다. 하지만 최종 변론 내용에서 개헌안이 핵심을 이룰 것이라는 데 대해서는 정치권 내 이견이 없다는 한목소리가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전국 곳곳 이어지는 '탄핵 반대' 목소리… 이번엔 대전서 '윤 탄핵 반대' 세력 집결
홍준표 "조기 대선 시 시장직 사퇴…내가 집권하면 TK현안 모두 해결"
'탄핵 반대' 대전 집회, 30만명 예상…매일신문 전한길 강사 연설 등 현장 생중계
[단독] 국가보안법 전과자, 국회에 몇 명이나 있을까?
신평 "한동훈, 키워준 尹 배신…탄핵소추·구속 방아쇠 당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