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6억원 주식 팔아 현금화 시도…지능형 보이스피싱에 금감원-수사기관 '공조' 강화

"범정부 차원 대응에도 불구하고 피해 증가...적극적 대응해야"

금융감독원 제공
금융감독원 제공

보이스피싱 범죄가 지능화되면서 피해 규모가 증가하는 가운데 금융당국과 수사기관, 금융권이 힘을 합쳐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24일 금융사 영업점의 현장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검찰, 경찰, 금융권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긴밀한 협력을 당부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9월 249억원이었던 피해액은 10월 453억원, 11월 614억원으로 급증했했다. 12월에도 피해액이 610억원에 달했다. 이에 금감원은 지난 14일, 소비자 경보 등급을 기존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 조정했다.

김미영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은 "범정부 차원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피해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며 "금융권이 고객과의 접점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해달라"고 말했다.

홍완희 동부지방검찰청 정부합동수사단장도 "최근 보이스피싱 조직이 더욱 정교해진 범행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며 "금융회사에서 수상한 거래를 신속히 수사기관에 신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는 금융사 영업점 직원들이 보이스피싱을 예방한 실제 사례도 공유됐다.

삼성증권 도곡WM1지점에서는 한 고객이 보유 주식 6억원을 전량 매도한 후 출금을 요청하자 직원이 출금 목적을 확인했다. 고객이 불안한 기색을 보이며 '사업 자금'이라고 답하자 보이스피싱 가능성을 의심했고, 적극적인 설명과 설득을 통해 피해를 막았다.

IBK기업은행 인천주안지점에서는 고객이 정기예금 1억원을 해지한 후 현금 출금을 요청했다. 직원이 휴대폰을 확인하길 요청했으나 고객이 거부하며 문자 메시지를 모두 삭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직원은 고객의 배우자에게 연락해 최근 카드 배송 관련 연락을 받았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끈질긴 설득 끝에 피해를 예방했다.

교남동새마을금고 본점에서는 통장과 도장없이 1억원 정기예금을 중도해지하려는 고객이 방문했다. 직원이 해지 사유를 묻자 고객이 답변을 회피하고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이에 보이스피싱 가능성을 의심하고 경찰과 협조해 장시간 설득한 끝에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한편, 안찬수 경찰청 형사국 마약조직범죄수사과장은 "보이스피싱 범죄는 날로 교묘해지고 있어 금융권과 경찰 간 신속한 정보 공유가 필수적"이라며 "경찰이 제공하는 의심거래 정보를 적극 활용해 금융권에서 창구 문진을 철저히 해달라"고 강조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수사기관 및 금융권과 협력해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을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며 "금융사 영업점의 대응 모범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금융권과 공유하며 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