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이사의 주주충실의무를 골자로 한 상법 개정안을 강행처리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재계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기업 경영의 자율성 및 효율성 저하, 해외 투기자본의 위협, 소송 남발 등 부작용으로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상법 개정으로 경영권 분쟁 사례가 늘어날 경우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소기업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국내 상장사에 대한 경영권 분쟁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경영권 분쟁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소송 등의 제기·신청(경영권분쟁소송) 공시는 지난 315건(87곳)으로 전년(266건·93곳) 대비 18.4%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경영권 분쟁이 발생한 기업의 규모를 보면 중소기업의 비중이 67.8%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견기업(25.3%), 대기업(6.9%) 순으로 기업 규모가 클수록 분쟁에 노출되는 비중이 낮았다.
경영권 분쟁을 겪은 상장사는 대체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등의 우호지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작년 기준 경영권 분쟁을 공시한 기업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은 평균 26.1%로 이는 자본시장연구원이 제시한 평균(39.6%)을 밑돌았다.

높은 상속세 부담으로 최대주주 우호지분이 점차 하락하고 있어 해외펀드 등의 경영권 공격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상속세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으로 최대 60%의 상속세를 주식을 팔아 납부할 경우 2세대 최대주주 지분율은 1세대 최대주주의 40%가 되고, 3세대 최대주주의 지분율은 16%까지 떨어진다는 것이 대한상의 측의 설명이다.
실제 지난 12년간(2012~2023년) 국내 2천407개 상장사 중 최대주주 우호지분율(자사주 제외)이 늘어난 기업은 886곳(36.8%)에 그친 반면 줄어든 기업은 1천388곳(57.7%)에 달했다.

지역 산업계 역시 상법 개정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상황에 경영권 공격이 활성화 될 경우 기업 운영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중소 제조사 관계자는 "주주가 몇 안 된다면 크게 걱정할 게 없겠지만, 투자 활성화를 위해 기업 공개(IPO)를 하고 상장을 추진한 기업은 너무 취약한 상황"이라며 "탄탄한 기술력을 갖춘 기업이 한 순간에 무너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기업이 사라지면 시민들의 소중한 일자리는 물론 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자산도 사라지게 되는 셈"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조기 대선 시 시장직 사퇴…내가 집권하면 TK현안 모두 해결"
전국 곳곳 이어지는 '탄핵 반대' 목소리… 이번엔 대전서 '윤 탄핵 반대' 세력 집결
'탄핵 반대' 대전 집회, 30만명 예상…매일신문 전한길 강사 연설 등 현장 생중계
[단독] 국가보안법 전과자, 국회에 몇 명이나 있을까?
신평 "한동훈, 키워준 尹 배신…탄핵소추·구속 방아쇠 당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