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프로농구 아산 우리은행의 15번째 정규리그 우승을 이끈 에이스 김단비가 2024-2025시즌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로 우뚝 섰다.
김단비는 24일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하나은행 2024-2025 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 시상식에서 기자단 투표 116표를 모두 얻어 '만장일치'로 최고 선수로 뽑혔다.
2022-2023시즌 처음으로 정규리그 MVP로 뽑힌 김단비의 통산 두 번째 수상이다. WKBL 역사상 여섯 번째 만장일치 MVP다.
이번 시즌 김단비는 29경기에 출전, 평균 21.1점, 10.9리바운드, 3.6어시스트, 2.1스틸, 1.5블록슛을 기록했다.
득점, 리바운드, 스틸, 블록슛 모두 전체 1위다. 개인 기록을 수치로 환산한 공헌도 부문에서는 964.5점으로 역시 1위에 올랐다.
김단비는 MVP 외에도 '맑은 기술 윤덕주상'(최고 공헌도), 우수 수비선수상, 베스트 5와 통계 부문 4관왕을 포함해 8관왕을 달성했다.
여자프로농구에서 8관왕이 나온 건 지난 시즌 박지수(갈라타사라이)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김단비는 박혜진(BNK), 최이샘(신한은행), 나윤정(KB)이 이적하고, 박지현이 외국 리그로 진출하면서 전력이 크게 약해진 우리은행(21승 9패)을 정규리그 우승으로 이끌었다.
김단비는 MVP 상금 500만원과 맑은기술 윤덕주상 300만원, 우수 수비선수상, 베스트 5와 통계 부문 4관왕 상금을 더해 총상금 1천400만원을 받았다.
시즌 베스트 5에는 김단비 외 키아나 스미스, 배혜윤(이상 삼성생명), 김소니아(BNK), 허예은(KB)이 선정됐다.
지도상은 전력 약화에도 구단 통산 15번째 정규리그 우승을 이끈 위성우 우리은행 감독이 받았다. 개인 통산 10번째 지도상 수상이다.
신인상은 재일교포 4세로,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 지명을 받은 홍유순(신한은행)에게 돌아갔다. 홍유순은 29경기에 출전해 평균 8.1점, 5.7리바운드를 기록했다.
올 시즌 처음으로 도입된 아시아 쿼터 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정한 'GTF 아시아쿼터 선수상'은 나가타 모에(KB)에게 돌아갔다.
지난해 12월 2일 용인 삼성생명전에서 정선민 전 여자대표팀 감독(8천140점)을 넘어 WKBL 역대 득점 단독 1위로 올라선 김정은(8천333점)은 특별상을 받았다.
◇ 하나은행 2024-2025 여자프로농구 시상식
▲ 최우수선수상(MVP) = 김단비(우리은행)
▲ 베스트 5 = 허예은(KB), 키아나 스미스(삼성생명), 김소니아(BNK), 김단비, 배혜윤(삼성생명)
▲ 지도상 = 위성우 감독(우리은행)
▲ 신인선수상 = 홍유순(신한은행)
▲ 식스우먼상 = 조수아(삼성생명)
▲ 기량발전상(MIP) = 키아나 스미스
▲ 최우수심판상 = 신형 심판
▲ 프런트상 = KB
▲ 티켓링크 베스트세일즈상 = 우리은행
▲ 티켓링크 최다관중상 = BNK
▲ 모범선수상 = 김정은(하나은행)
▲ 우수 수비선수상 = 김단비
▲ 득점상 = 김단비
▲ 2점 야투상= 이해란(삼성생명)
▲ 블록상 = 김단비
▲ 리바운드상 = 김단비
▲ 3득점상 = 강이슬(KB)
▲ 3점 야투상 = 키아나 스미스
▲ 자유투상 = 김소니아
▲ 어시스트상 = 허예은
▲ 스틸상 = 김단비
▲ 맑은기술 윤덕주상(최고공헌도) = 김단비
▲ GTF 아시아쿼터 선수상 = 나카타 모에(KB)
▲ 특별상 = 김정은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조기 대선 시 시장직 사퇴…내가 집권하면 TK현안 모두 해결"
[단독] 국가보안법 전과자, 국회에 몇 명이나 있을까?
전국 곳곳 이어지는 '탄핵 반대' 목소리… 이번엔 대전서 '윤 탄핵 반대' 세력 집결
"강성 발언보다는 국민 통합 위한 메시지 내달라"…여권, 尹 최종 변론 의견 표출
이재명, 與에 "1천억 자산가 상속세를 왜 100억이나 깎아줘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