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다음 달 3~6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인공지능(AI) 로봇 측위 기술과 사이버범죄 예방 기술 등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25일 알렸다.
'VLAM'(Visual Localization And Mapping)은 건설 현장, 병원, 사무건물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로봇이 정밀하게 이동하게 하는 자율주행 기술을 뜻한다.
공간 분석 및 정밀 측위 AI를 활용해 로봇에 탑재된 카메라로 영상을 실시간 분석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로봇이 정확한 위치까지 자재를 운반하게 하거나 대형 병원에서 의약품을 최적의 동선으로 운송하도록 지원한다.
사기 탐지 모델, 스팸필터링 모델을 탑재한 AI 보안 설루션 'FAME'(Fraud detection AI for MNO & Enterprise)도 함께 공개한다.
사기탐지 모델은 SK텔레콤의 위치 데이터와 전화, 문자 정보 등의 통신 데이터를 AI로 실시간 분석해 금융·보험 사기 예방을 돕는다.
가령 은행 앱에 로그인할 때 보이스피싱 번호와의 통화 이력이 발견될 경우 계좌 이체를 중단하거나 고객에게 경고를 발송하는 식이다.
스팸필터링 기술은 거대 언어 모델(LLM) 기술을 활용해 스팸·스미싱·악성 앱·악성 URL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하는 기술이다.
또한, 드라마·예능 등 영상 콘텐츠를 해외 시장에 맞게 현지화할 때 필요한 설루션 'AI 미디어 스튜디오'를 공개한다.
이 설루션은 콘텐츠에 포함된 음원을 분리해 저작권 문제가 없는 음원이나 AI가 생성한 음원으로 대체하는 ▷'음원 분리' 기술, 방송 영상을 모바일용 쇼츠 콘텐츠로 최적화해서 변환하는 ▷'오토리프레임' 기술, 별도 촬영 없이 기존 영상에 2D와 3D 제품을 자연스럽게 삽입해 현지화된 브랜드와 제품을 광고하는 ▷'VPP' 기술로 구성됐다.
SK텔레콤과 스타트업 XL8, 허드슨 AI가 공동 개발한 자동 자막 생성, 다국어 자막 번역 및 더빙 기능도 탑재됐다.
SK텔레콤은 가상 스튜디오 촬영 기술 등을 추가로 개발해 서비스 영역을 점차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조기 대선 시 시장직 사퇴…내가 집권하면 TK현안 모두 해결"
[단독] 국가보안법 전과자, 국회에 몇 명이나 있을까?
전국 곳곳 이어지는 '탄핵 반대' 목소리… 이번엔 대전서 '윤 탄핵 반대' 세력 집결
"강성 발언보다는 국민 통합 위한 메시지 내달라"…여권, 尹 최종 변론 의견 표출
김병주, '尹 참수' 모형칼 들고 활짝…논란되자 "인지 못했다" 해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