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들의 지갑이 얇아지면서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는 가운데 속도감 있는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면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의 대출 숨통이 다소 트일지 관심이 쏠린다.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이 지난해 전년보다 매출 감소
25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한 '자영업자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72.6%가 2024년 매출이 2023년 대비 줄었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감소했다고 응답한 자영업자들의 평균 감소폭은 12.8%로 조사됐다.
지난해 순이익도 직전 해 대비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가 72.0%에 달했고, 감소폭은 평균 13.3%로 집계됐다.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은 순이익이 줄어든 셈이다.
자영업자 절반 이상이 올해도 사업 실적 악화를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매출 전망이 지난해 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한 자영업자는 61.2%였다. 평균 매출 감소폭은 6.5%로 전망했다.
올해 순이익 전망도 지난해 대비 줄어들 것이란 응답자도 62.2%였다. 자영업자들은 평균 7.2%가량 순이익이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빚 부담에 문 닫는 자영업자…평균 1억2천만원 대출
같은 조사에서 자영업자들이 가장 부담을 느끼는 경영 비용은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상환 원리금(14.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자영업자들은 지난해 기준 평균 1억2천만원의 대출금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월 이자는 84만3천원,연평균 8.4%의 금리 부담을 안고 있었다.
한경협은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 4.7%, 소액대출 금리도 6.9%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 자영업자들이 예금은행 이외에 제2금융권(비은행금융기관) 등에서 대출을 받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처럼 상황이 어렵다 보니 자영업자 10명 중 4명 넘게(43.6%) 향후 3년 이내에 폐업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이 폐업을 생각하게 된 주된 이유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8.1%) 등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 자영업자가 필요로 하는 가장 주요한 정부지원 대책으로 대출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가 꼽혔다. 이어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원부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화(14.0%) ▷임대료 지원 강화(11.7%)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1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원부자재 가격 안정과 소비촉진 방안을 강화해 소상공인들의 숨통을 틔워 줘야 한다"고 했다.
이 같은 상황 속에 이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기로 결정하자 소상공인들은 대출 부담 감소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대구 달성군 한 고깃집 사장 배모(67) 씨는 "장사를 하다 보니 금융 이자가 매장 월세보다 많아진 상황에 처했다"며 "재고를 정리하고 곧 문을 닫을 예정인데, 조금이라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아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은정, 315일 전 尹에게 받은 난 키워 '파면 축하 난'으로 선물
홍준표 대구시장 퇴임식 "시장직 내려놓지만, 든든한 후원자로서 역할하겠다" [영상]
사저 복귀한 尹 "임기 못 끝내 아쉽다…나라 위한 새로운 길 찾을 것"
추미애, 이낙연 저격 "예전 전두환 칭송…국힘과 연대 이상할것 없어"
한남동 떠나 서초동으로 간 尹 "나라·국민 위한 새로운 길 찾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