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대구 서구)은 IPO(기업공개) 시장의 건전성 제고를 위해 '코너스톤 투자자 제도'를 도입하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일부개정안을 26일 대표 발의했다.
'코너스톤 투자자(Cornerstone Investor)는 일정 기간 이상 공모주 보유를 약정하고 투자를 확약한 기관투자자에게 공모주 일부를 사전 배정하는 제도다.
현재 IPO 제도개선에도 불구하고 한국 IPO 시장은 단기적인 목적투자가 주를 이루며 시장 왜곡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중·장기 투자자 역할이 기대되는 기관투자자도 단기차익을 목적으로 허수성 청약을 실시하고 주식을 상장한 직후에 매도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2024년 IPO 77개 종목 중 74개(약 96%)는 상장일에 기관투자자가 '순매도'했다.
이러한 단기차익 투자로 인해 수요예측이 과열될 뿐만 아니라 적정 공모가 산정이 저해되고 있다. 주가 흐름도 상장일에 급등한 후 지속 하락하게 되는 등 주가지수에도 부정적이다.
또 2024년 IPO 77건 중 49건(약 64%)에서 수요예측 '참여 물량의 90%'가 공모가 밴드 상단 초과 가격을 제시했다.
이에 개정안은 해외 주요국에선 이미 운영 중인 일정 기간 이상 공모주 보유를 약정하고 투자를 확약한 기관투자자에게 공모주 일부를 사전 배정하는 '코너스톤 투자자(Cornerstone Investor) 제도'와 기관투자자들의 투자수요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전 수요예측 제도'를 도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홍콩·싱가포르와 유럽 등에서 시행 중이고, 미국에선 JOBS법(the Jumpstart Our Business Startups Act, 2012년)을 통해 도입됐다.
제도 개선 시 공모가 밴드 설정 단계부터 시장 평가를 고려할 수 있어 '합리적 공모가 산정'에 기여하고, 코너스톤 제도를 통해 '안정적인 중·장기 투자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상훈 의원은 "법 개정을 통해 그간 공모가 산정을 왜곡하고, 상장 후 주가 하락의 원인이 됐던 기관투자자의 허수성 청약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우리 IPO 시장이 '단기차익 목적 투자'에서 '기업가치 기반 투자' 위주로 합리화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개선에 지속해서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