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선고가 다음달 26일로 잡히면서 2심 선고 결과와 대법원 최종 선고 시기에 이목이 집중된다. 이 대표가 항소심에서 어떤 결과를 받느냐는 향후 대권 주자로서의 입지에 영향을 줄 중요한 변수로 꼽힌다.
상고심 판결이 언제 나오느냐 역시 향후 정국의 주요 변수로 꼽히는 가운데 대법원이 이른바 '6·3·3 원칙'을 지킬지 관심이 쏠린다. 이 원칙은 선거법 재판 선고 시 1심은 공소제기 후 6개월, 2심 및 3심은 각 3개월 이내에 끝내야 한다는 것이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등법원 형사6-2부(부장 최은정)는 전날 진행된 이 대표 결심 공판에서 3월 26일 오후 2시를 선고 기일로 밝혔다. 검찰은 이날 "거짓말로 유권자의 선택을 왜곡한 사람에 대해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며 징역 2년을 구형했다.
지난해 11월 1심 재판부는 이 대표에게 의원직 상실형에 해당하는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항소심 선고에서도 이 대표가 의원직 상실형에 해당하는 판결을 받을 경우 대권을 향하는 경로에 적지 않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1, 2심 모두 의원직 상실형이 나온 상황에서 대법원 상고를 간다고 하더라도 다른 판결을 기대하기 어려워질 수 있어서다.
대법원에서 선거법 위반으로 100만원 이상 유죄가 확정되면 피선거권을 상실한다. 향후 10년간 선거에도 출마할 수 없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이 인용돼 조기 대선이 벌어질 경우 상황은 복잡해진다. 대법원 선고 시점에 따라 이 대표가 대선에 출마할 수 있거나, 그렇지 못하는 경우의 기로에 서기 때문이다.
법조계와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러한 불확실성을 조기에 제거하기 위해 대법원이 공직선거법상 명문화돼 있는 6·3·3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른다면 적어도 상반기 내로는 이 대표 사건의 상고심 선고가 마무리돼야 한다.
그간 '공판기일 지정은 재판장 권한'이라는 판례에 따라 해당 규정은 형해화 돼 있지만 조희대 대법원장은 이를 준수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온 만큼 향후 재판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여당은 재판부에 '속도전'을 요구하고 있다. 서지영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2심 선고 후 대법원에 가더라도 최대한 신속한 판결을 내려 재판 일정을 둘러싼 정치적 의혹이 생기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대표는 대통령이 되면 '재판중지'로 면죄부를 받겠다는 야무진 꿈을 꾸고 있지만 그것은 법 상식을 벗어난 망상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