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뉴욕증시, 트럼프-젤렌스키 충돌…다우 1.4%↑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한 트레이더가 시황판을 쳐다보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한 트레이더가 시황판을 쳐다보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종전협상 문제를 놓고 공개적으로 충돌했지만 뉴욕증시는 이에 개의치 않고 강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01.41포인트(1.39%) 오른 43,840.9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92.93포인트(1.59%) 오른 5,954.5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02.86포인트(1.63%) 오른 18,847.28에 각각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장중 주요 뉴스에 따라 온탕과 냉탕을 오가다가 장 마감을 앞두고 반등하며 변동성이 컸던 한 주간 거래를 마무리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중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1월 2.5%로 둔화해 시장에 안도감을 주면서 뉴욕증시는 개장 초 강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전쟁 종전을 위한 러시아와의 협상을 둘러싸고 공개적으로 설전을 벌이며 충돌하는 장면이 TV로 중계되면서 뉴욕증시도 약세로 돌아서는 듯했으나 오후 장 마감을 앞두고 뉴욕증시는 낙폭을 만회하고 반등해 결국 3대 지수 모두 강세로 마감했다.

미국의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가운데 오후 들어 채권 금리가 낙폭을 키운 게 증시 반등에 동력을 불어넣었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은 이날 정오 무렵 성장률 전망모델 'GDP 나우' 업데이트를 통해 올해 1분기 미국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3%(전기 대비 연율 환산)에서 -1.5%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개인소비지출(PCE)과 순수출 전망치가 대폭 하향 조정된 게 1분기 성장 전망을 낮추는 데 영향을 미쳤다.

채권 금리는 하락으로 반응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21%로 하루 전 같은 시간 대비 6bp(1bp=0.01%포인트) 떨어졌다.

인플레이션 둔화 재개 기대와 함께 경기 우려가 커지면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에 다시 나설 것이란 기대감도 커졌다.

시카고선물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12월까지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전날 4.5%에서 이날 1.9%로 하향 반영했다.

금리를 0.25%포인트 한 차례 인하할 확률은 전날 19.4%에서 12%로 낮췄고, 대신 세 차례 이상 인하할 확률을 높여 반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