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배추와 무 공급 부족으로 가격 고공행진이 지속되자 정부 비출물량을 풀고, 수입 물량 확대하는 등 대책을 내놨다.
7일 농림축산식품부는 경제관계차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민생경제점검 TF(태스크포스)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배추·무 수급 안정 방안'을 내놨다.
최근 겨울 배추와 무 생산량은 지난해 고온현상과 호우 피해, 겨울철 대설과 한파 등이 겹쳐 생산량이 평년 대비 10~21% 감소한 상황이다.
이에 지난달 하순 배추와 무 도매가격은 각각 평년보다 71.7%, 153.2% 올랐다. 소매 가격은 배추는 평년보다 36.9% 비싸고 무는 81.1% 비싼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배추와 무 가격 고공행진은 봄 재배 배추(4월 하순), 무(5월 중순)가 시장에 출하되는 시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농식품부는 비축·수입 물량 시장 공급 확대, 대체 소비 홍보 및 할인 확대 등 대안을 내놨다.
정부는 비축한 배추 2천600t(톤)을 하루 100톤가량 도매시장에 공급하고, 무 비축분 500톤을 도매가격의 70% 수준으로 할인해 대형마트에 넘기기로 했다.
또한 직수입 물량도 전국 도매시장 등에 공급한다. 배추와 무 공급량은 한 주에 각각 200∼500톤 수준이다. 수출 물량은 가공업체나 식자재마트 등에도 공급될 수 있다.
농식품부는 다음 달까지 배추와 무에 할당관세를 적용해 수입할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할당관세를 적용해 배추는 1천326톤(1만톤 한계), 무는 3천225톤(2만톤 한계)을 수입한 바 있다.
농식품부는 소비자들의 부담을 낮추기 배추와 무 할인 행사 지원 기간을 4월까지 한 달 연장하기로 했다.
또 봄동, 얼갈이, 열무, 시금치 등 대체 품목에 대한 할인 행사를 지원한다.
이외에 봄 배추와 무의 농협 계약재배 물량과 정부 수매비축 확대 등 추진된다.
이에 농협 봄 배추 재배 물량은 7천톤 늘어난 2만2천400톤, 무는 1천톤 늘어난 4천500톤이 확보될 예정이다.
정부 수매 비축물량은 봄 배추는 5천톤 늘어난 1만5천톤, 무는 2천500톤 늘어난 7천500톤이 확보가 추진된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임기 못 마치고 떠나 시민께 송구…대선 승리해 금의환향하겠다"
박은정, 315일 전 尹에게 받은 난 키워 '파면 축하 난'으로 선물
홍준표, 시장직 사임 "尹 억울함 풀 것, 임기 못마쳐 죄송"
한동훈, 출마 선언…이재명 겨냥 "괴물정권 탄생 막아야"
尹 만난 이철우 "주변 배신에 상처받아…충성심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