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천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수용하기로 하자 환자단체와 시민사회에서는 큰 실망감을 나타냈다. 이들은 정부가 또 다시 의료계에 밀리면서 의료개혁이 후퇴 또는 백지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우려하는 반응을 보였다.
7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의 브리핑 직후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의사 증원 정책이 원점으로 돌아가는 상황이 당혹스럽고 실망스럽다"며 "정부가 의사 인력 정책 추진에서 또 한 번 물러났으니 이제 의료계는 의료 개혁도 백지화하라고 요구할 텐데, 심히 우려스럽고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남은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국장은 "이렇게 했는데도 학생들이 안 돌아오면 그다음에는 또 더 내줘야 하는 거고, 이런 식으로 계속 반복하는 데 국민들도 피곤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이렇게 한발 물러서면 더 큰 후퇴가 기다리고 있는 게 아닌가 하고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안은미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정책국장은 "결과적으로 또 (의대 정원이) 정치적 타협의 대상이 된 것 같고, 이렇게 하면 또다시 의료공백 사태나 갈등의 소지가 생길 수밖에 없을 거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회는 사회적 합의가 어렵더라도 원칙적으로 논의를 끌고 갈 수 있도록 관련 법안을 입법하고 합의하는 역할을 먼저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이들이 속한 단체들은 지난 6일 의대 정원 증원을 원점으로 되돌리는 데 반대하는 공동 성명을 냈다.
이들 단체는 성명에서 "2026년도에 의대 모집 인원을 늘리지 않는다는 건 의료 공백과 의사 부족 해소를 기대하며 1년간 고통받고 인내해 온 국민과 환자를 기만하는 행위로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의대 증원 문제를 풀어가겠다던 당정이 원칙을 깨고 전공의와 의대생의 집단행동에 또다시 굴복한다면 국민 중심의 의료개혁은 물거품이 될 것임을 경고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의대 증원은 '3분 진료',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 같은 현상 해결은 물론 지역의료 붕괴와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피할 수 없는 정책"이라며 "정부와 국회는 좌고우면하지 말고 2026년 의대 정원을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법에 바탕을 둔 사회적 합의를 거쳐 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전한길 "사전투표 규칙 개정해야…제2의 홍콩·베네수엘라로 몰락할 수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