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해 의대 교육 모델, 가장 적합한 방식은 무엇?

의대 학장들 "각 대학마다 처한 사정에 따라 할 수 있게 자율권 줘야"

서울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7일 정부 발표 이후 의대생들이 학교로 복귀한다 치더라도 과제는 남아있다. 지난해와 올해 들어온 신입생 7천500여명을 어떤 방식으로 교육시켜 의사로 만들어낼 지 여부가 다음 과제로 남았다.

이날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의 발표에서 의대 학장단은 24·25학번 교육 과정 운영에 대해 교육부에 네 가지 모델을 제시했다.

의대 교육은 통상 '예과'라 불리는 의예과 2년(1, 2학년)과 '본과'라 불리는 의학과(3∼6학년) 4년 과정으로 나뉜다. 예과는 교양수업을 위주로 이뤄지고 본과부터는 실습이 주다. 3, 4학년은 기초의학·임상의학 실습을, 후반인 5, 6학년은 부속·협력병원 임상실습을 한다.

정부와 대학은 주로 다른 단과대학에서 교양수업을 듣는 1, 2학년은 학생들만 들어온다면 당장 교육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미 모든 의대가 올해 1학기 시간표를 개설하고 교원 배치와 강의실 배정을 완료했다.

문제는 본과 1학년부터 소수로 이뤄지는 의대 실습 수업이다. 24·25학번이 겹치면서 대학별로 학생 수가 2∼4배가량 늘어난 상황이라 해당 학번이 학년이 올라가는 동안 의대 강의실이나 기자재 등의 확보가 안 된다면 교육이 여의치 않을 수 있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KAMC)가 제시한 네 가지 모델 중 모델 1을 제외하고는 24·25학번의 졸업을 시차를 두고 진행하는 방식이다.

모델 2의 경우 24학번의 의예과 교육과정을 재설계해서 다학기제 운영, 계절학기 활용으로 3학기로 줄인 뒤 2026년 9월 본과 1학년으로 올리는 방법이다.

모델 3은 1학년 1학기를 이수한 뒤 휴학한 24학번을 1학년 2학기로 복학시켜 25학번보다 한 학기 빠르게 졸업시키는 방법이다. 못 들은 1학년 1학기 수업은 계절학기 등으로 보충시킨다.

모델 4는 24학번의 본과 과정을 재설계하는 방식이다. 예과 1,2학년은 25학번과 같이 수업을 듣고 본과 과정을 24학번만 5.5학기 안에 이수하게 한다.

대구 지역 4개 의대 학장들은 "어떤 방식이든 각 학교의 사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보장해줘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한 의대 학장은 "24학번 학생들은 자신이 선배이기 때문에 먼저 졸업하고 싶어서 25학번과 차등을 두는 모델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교육의 수월성 부분에서 걸린다"며 "학교 여건만 된다면 24, 25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고 졸업하는 게 맞을 수도 있지만 학교 시설이나 기자재 확보가 늦어진다면 교육이 매우 힘들어진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네 가지 시나리오 중 하나를 택하라고 강제하는 건 아니고 대학 편의를 위해 다양한 모델을 제시한 것뿐"이라면서 "대학에서 이런 시나리오를 따르지 않고 더 좋은 방안 있다면 그것으로 해도 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